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거창한레오파드265
거창한레오파드26523.08.30

전기줄에 앉아있는 참새는 왜 감전이 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줄을 보면 가끔 참새 같은 새들이 앉아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고압의 전기줄에 참새가 앉아도 감전이 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지 쉽게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깃줄에 있는 참새는 실제로는 같은 줄에 두 발을 걸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류가 몸에 흐르지 않는 것입니다.


  • 참새가 전기줄에 앉아 있을 때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참새와 전기줄 사이에 전기가 흐르지 않는 경로가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전기가 흐르려면 전기회로가 완전한 경로를 형성해야 합니다. 전기가 흐를 때, 전기는 최단 경로를 따라 흐르게 되며, 이때 전기가 가장 작은 저항을 가진 경로를 선택합니다. 전기가 흐를 수 있는 경로 중에서 저항이 가장 낮은 것은 전기회로의 완전한 닫힌 회로이며, 이 상태에서 전기가 흐릅니다.

    전기줄에 앉아 있는 참새의 경우, 참새의 다리와 다리 사이, 혹은 참새와 땅 사이에 완전한 전기회로가 형성되지 않습니다. 참새의 다리 사이나 참새와 땅 사이에는 공기가 있으며, 공기는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물질이 아니므로 전기회로가 닫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기는 참새를 통과하지 않고 전기줄에 있는 상태로 유지됩니다.

    이와 달리, 전기를 통할 수 있는 경로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감전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참새가 동시에 전기줄과 다른 물체에 접촉한다면, 전기가 통하는 경로가 형성되어 감전의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참새가 전기줄에 앉아 있을 때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전기가 흐를 수 있는 경로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기가 흐른다는 의미는 전류가 흐른다는 의미 입니다. 전기는 고전압에서 저전압으로 전류가 흐르는데, 참새는 하나의 전선에 양발로 서있기 때문에, 양발의 전위차는 0이 됩니다. 그렇게 때문에 참새는 전선위에 서있어도 감전이 되지 않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참새가 고압의 전기줄에 앉아도 감전이 되지 않는 이유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전류는 전기회로를 통해 흐르는데, 전기줄은 전선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참새는 전선 하나만을 밟고 앉아 있으므로, 전기회로가 형성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참새의 몸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감전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기줄에 앉아 있는 참새가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전기의 흐름 경로 때문입니다. 전기는 항상 최단 경로를 통해 흐르려고 합니다. 전기가 흐를 때, 전기는 낮은 저항을 가진 경로를 선호하며, 감전이 발생하는 것은 전기가 몸을 통해 흐르는 경로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참새가 전기줄에 앉아 있을 때, 전기는 전기줄을 통해 흐르고, 참새의 다리와 다른 부분 사이에는 전기가 흐를 수 있는 저항이 매우 높은 공기가 존재합니다. 이로 인해 전기는 참새의 몸을 통해 흐르는 경로를 찾지 않고 전기줄을 따라 흐르게 됩니다. 따라서 참새는 전기에 감전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전류가 흐리기 위해서는 전위차가 있어야하는데요. 이 전위차가 0일 경우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기 때문에 참새와 전기줄 사이의 전위차는 0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결국 새와 전기줄은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전기줄보다 참새의 저항이 더 크기 때문에 참새로 전류가 흐리지 않게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30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참새가 전선에 앉아 있을 때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참새의 몸이 전기의 흐름에 대한 경로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참새가 하나의 전선만을 만지고 있다면, 그 몸은 단일 전위 상태에 머무르며, 그 결과로 전류가 참새의 몸을 지나갈 필요성이 없습니다.

    다른 말로 하면, 참새가 두 개 이상의 별도의 도체(예: 두 개의 다른 전선)를 동시에 만지고 있지 않다면, 그것들 사이에서 잠재적인 차이(전압)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감전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참새의 몸은 전기를 흐르게 하는데 필요한 저항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전기가 참새의 몸을 통과하기에는 저항이 너무 크기 때문에 전기가 흐르지 않습니다. 또한, 참새가 전기줄에 앉아 있을 때 참새의 다리가 땅이나 다른 접지체에 닿지 않는다면 전기가 흐를 수 있는 경로가 없어 감전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