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암호화페는 초당처리속도 TPS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TPS 기준산정시 중요하게 반영되어야하는 조건이 있나요?
암호화페는 초당처리속도 TPS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TPS 기준산정시 중요하게 반영되어야하는 조건이 있나요?
1)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라이트코인, 이오스, 트론, 스텔라, 에이다, 코스모스, 레이븐, 나스고, 요코인 등 주요 코인의 TPS를 비교 할 수 있을까요?
단) 전송량일 일정하다고 보았을때 즉 최대치로~^^
2)주요코인과 비자, 마스타카드 등 신용카드와 비교할 수 있나요?
3)예를 들면 이더리움은 새끼 토큰들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데, 그들의 사용량이 많아지면 TPS가 떨어진다고 들었습니다. 이게 사실인가요? 맞다면 얼마나 떨어질까요?
4)간혹 한국 업체들중에서 TPS가 10만건, 100만건 얘기하는 업체들을 들었습니다.
그들이 말하는거와 일반적으로 비트코인, 이더리움, 이오스 등 업체들이 얘기하는거랑 차이점이 뭔가요?
5)사이드체인이 많아 지더라도 메인체인 TPS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사이드체인간에도 TPS영향을 끼치지 않는게 있나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