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냉철한불독44
냉철한불독44
24.02.19

시력이 안좋은 사람이 눈을 찡그리면 잘보이게 되는 이유가 뭘까요?

시력이 안좋은 사람이 눈을 찡그리면 사물을 잘 볼 수 있게 되잖아요.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 안경도 이를 이용해서 만든 물건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5.01.14

    안녕하세요. 아하의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시력이 안 좋은 사람이 눈을 찡그리면 잘 보이게 되는 이유는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줄여 초점을 더 효율적으로 맞추기 때문입니다. 눈을 찡그리면 동공이 약간 좁아져 산란된 빛을 줄이고, 빛이 망막에 보다 정확히 도달하게 합니다. 이 과정은 초점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주는데 비슷하게 카메라의 조리개를 조절하면 심도가 깊어지는 것과 같습니다. 하지만 안경은 이렇게 작동하지 않으며, 안경은 렌즈의 곡률을 이용해 빛의 경로를 조정하여 망막에 정확한 초점을 맞추도록 설계됩니다. 안경의 원리는 눈을 찡그리는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지만 최종적으로 시력을 보정한다는 목표는 비슷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은 눈을 찡그려 사물을 보려고 노력을 하는데 이는 이원리를 이용한것이 망원경이나 현미경일것 같습니다.

    앞뒤 조리개를 이용하여 촛점을 맞추기 때문이죠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시력이 안 좋은 사람이 눈을 찡그리면

    사물을 더 잘 볼 수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눈을 찡그리면 눈공이 작아져

    빛이 들어오는 양이 줄어듭니다.

    이는 카메라의 조리개를 작게

    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가져옵니다.

    빛이 줄어들면 망막에 맺히는

    상이 선명해져 사물을 더 잘 볼 수 있습니다.

    특히 근시가 있는 사람은 눈을 찡그리면

    초점이 맞는 범위가 넓어져 사물이 더

    선명하게 보입니다.

    눈은 렌즈처럼 빛을 굴절하여

    망막에 상을 맺습니다.

    하지만 눈의 렌즈는 완벽하지 않아

    빛이 굴절되는 과정에서 구면 수차라는

    오차가 발생합니다.

    구면 수차는 빛이 여러 곳에 맺히게

    하여 상을 흐릿하게 만듭니다.

    눈을 찡그리면 눈동자가 작아져

    구면 수차가 감소하여 사물이 더 선명하게 보입니다.

    안경은 렌즈를 사용하여 빛의 굴절을

    조절하여 시력을 교정합니다.

    근시 안경은 빛의 굴절력을 약하게 하여

    초점을 망막에 맞춥니다.

    원시 안경은

    빛의 굴절력을 강하게 하여 초점을 망막에 맞춥니다.

    안경은 눈을 찡그리는 것과

    같은 원리로 빛의 굴절을 조절하여 시력을 개선합니다.

    시력이 안 좋은 사람이 눈을 찡그리면

    핀홀 효과와 구면 수차 감소로 인해 사물을

    더 잘 볼 수 있습니다.

    안경은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빛의 굴절을

    조절하여 시력을 교정하는 도구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시력이 안좋은 사람이 눈을 찡그리면 잘 보이게 되는 이유는 눈을 찡그리면 눈알이 약간 압축되어서 빛이 더 집중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