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사기나 삼국유사의 한반도 삼국(고구려.백제.신라)내 지명이 존재하지 않는데 중원(중국)대륙에 그지명들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지요?
국사시간에 흔히 배웠던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삼국(고구려.백제.신라)내 지명이 존재하지않고 중원(현중국)대륙에 삼국(고구려.백제.신라)지명이 있다는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건지요 삼국유사 와 삼국사기가 잘못 수록된 것입니까? 사학자님들의 잘못된 사학관이 문제입니까?
![답변의 개수](/questions/_next/image?url=https%3A%2F%2Fmedia.a-ha.io%2Faha-qna%2Fimages%2Fcommon%2F3D%2Fanswer.png&w=64&q=75)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국사기에 고구려 백제 신라 라는 지명이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디. 혹시나 글쓴이가 잘 못아셨거나
제가 잘못 알 수 있으니 조금 더 알아 보고
답변 달겠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국시대(1~7세기)에는 한반도 삼국(고구려, 백제, 신라)에서 사용하는 지명체계와 중국에서 사용하는 지명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서는 중국에서 사용하는 지명체계를 따랐습니다. 따라서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한반도 삼국의 지명은 중국에서 사용하는 지명입니다.
예를 들어, 삼국시대에는 한반도 삼국에서 사용하는 지명체계로 '해동성(海東城)'이나 '학산(鶴山)' 등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중국에서 사용하는 지명체계로는 '여동성(濊東城)'이나 '각산(角山)' 등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서는 중국 지명체계를 따라 하여, 여동성이나 각산 등의 지명이 사용되었습니다.
이러한 지명체계의 차이 때문에, 한반도 삼국의 실제 지명과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지명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사학자들의 잘못된 사학관이나 삼국사기나 삼국유사가 잘못 수록된 것이 아니라, 당시의 지명체계의 차이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를 이해하고, 삼국사기나 삼국유사를 읽을 때에는 지명체계의 차이를 감안하여 해석해야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