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소아청소년과 이미지
소아청소년과의료상담
소아청소년과 이미지
소아청소년과의료상담
귀한조롱이35
귀한조롱이3521.06.18

8세 여아 성장판검사 궁금합니다

여자아이 8세입니다.

마르고 또래보단 키가 작은편이예요.

입도짧아서 걱정이 되는대

성장판검사는 어떻게 하는건지

그리고 혹시 예상키가 작게 나오면 앞으로 어떤 치료가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성장판 검사는 뼈 성숙의 정도를 알아보는 검사로서 단지 성장판만 보는 것이 아니라 방사선 상에 보이는 뼈의 중심부(화골핵)의 숫자, 크기, 모양, 농도, 윤곽의 예리성, 성장판(골단)의 융합정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입니다. 나이에 따라 검사하는 부위가 다르나 오른손잡이의 경우 왼손과 손목을 포함하여 방사선 사진을 찍고, 청소년의 경우 어깨 방사선 사진도 같이 찍습니다.키가 크기위해서는 충분한수면과 양양섭취 성장판 자극을위해 뛰어놀기등의생활 습관이 중요합니다. 성장판검사는 지금 몇cm인가보다 1년에 몇cm 크느냐가 기준입니다. 만일 일년에 4cm 이상 자라지 않는다면 체크해 보아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연철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성장판 검사에 대해 궁금하신듯 합니다.

    손목, 어깨, 골반, 무릎 등의 관절의 X-ray 영상으로
    뼈의 성장이 실제 나이와 알맞게 진행하고 있는지 평가합니다.

    (물론 어느 정도의 오차는 있겠지만)
    그래서 현재의 키와 이차성징의 정도, 뼈 나이 등을
    종합해서 성인이 되었을 때의 키를 예측해봅니다.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의 여아는 또래에 비해
    사춘기 변화가 빨리 진행되는지 잘 확인해야 하고,

    아이가 또래 또는 부모님의 키에 비해 많이 작다면
    성장을 방해할 만한 원인이 있는지를 검사해서
    각 상황에 맞는 치료를 진행하게 됩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성장판검사는 손의 xray를 찍어 골화정도를 판단하여 알수 있습니다.

    예상키가 적을 경우 칼슘 공급, 충분한 운동, 수면 등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일단 여자아이같은 경우, 가슴 몽우리가 나왔나 확인 후에 손을 양손 찍어서 뼈를 보게 됩니다.

    그리고 필요시 호르몬 검사 가능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골연령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잔여성장을 확인합니다. 인체의 뼈는 대부분 태생기에는 연골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가 점차 골 조직으로 치환됩니다. 그런데 골 조직으로 치환되는 부위와 그 범위는 개체의 연령에 비교적 비례하여 일정한 양상으로 전개됩니다. 따라서 각 연령대 별로 평균적인 골 치환 양상을 정리해 놓고 특정 개인이 어느 정도 연령에 해당하는지를 보는 것이 바로 골연령 측정 방법입니다. 골연령을 측정에는 대표적으로 4가지 방법이 이용되며, 각 방법에 장단점이 있어 연령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합니다.

    1. 그룰리히-파일 방법(Greulich-Pyle atlas, 1959)

    ㆍ 손목 주변의 뼈들이 성숙한 정도에 기반한 방법
    ㆍ 그룰리히-파일의 원본은 50년대 서양인을 대상으로 작성한 것이고, 한국인 대해서는 ‘한국인 소아의 골연령표’(연경모, 1999)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ㆍ 사춘기에는 손 부위의 뼈에 큰 변화가 없기 때문에 효용성이 적습니다.

    2. 소베그레인 방법(Sauvegrain, 1962)

    ㆍ 팔꿈치관절 전·후면 및 측면을 방사선 검사로 측정하는 방법
    ㆍ 사춘기에 유용합니다.

    3. 리서 방법(Risser, 1958)

    ㆍ 골반의 윗부분 뼈가 성숙한 정도로 측정합니다.
    ㆍ 사춘기의 2/3가 지난 후부터 성장이 끝날 때까지의 기간에만 적용할 수 있어 효용이 제한됩니다.

    4. 옥스포드(Oxford) 골반 골연령(Acheson, 1957)

    ㆍ 엉덩이관절 질환에서 골반부의 골연령을 측정하는 데에 유용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