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물과 전기가 닿으면 물이 전도체가 되는 이유가 뭔가요?
문득 궁금해져서 전문가분들께 질문합니다! 물에 전기가 닿으면 전기가 통하게되면서 전도체 역할을 하게 되는데 정확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순수한 물 자체는 부도체입니다.
하지만 우리 주변의 물들은 모두 순수한 물이 아니라 다양한 불순물이 섞여 있습니다.
그 불순물 속에 전해질(물 속에서 이온결합에 의해 양과 음 이온으로 전해 된 것)도 함유되어 있어 그것이 전기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물 그자체는 순수할 경우 전기를 거의 통하지 않지만 실제 생활에서 접하는 물은 대부분 미네랄 염분 먼지 등 다양한 이온 성분이 녹아 있어 전기를 잘 통합니다 이온은 전하를 띤 입자로 전기장을 받으며 이동하면서 전류를 흐르게 하므로 물이 전도체 역할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결국 물이 전기를 통하는 건 물속에 녹아 있는 이온들이 전류의 통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물의 저항이 낮기 때문이고 물 속에 있는 이온 때문입니다.
이온은 +와 - 전하로 나뉘어져 있기 때문에 전기가 통하기 매우 좋은 환경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