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는 신분계급의 바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크게 양반, 중인, 상민, 천민 총 4계급으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양반은 신분계급 중 가장 높은 신분으로서 흔히 사대부 출신을 말합니다.
사회의 특권층으로 나라로부터 토지 및 특전을 받았다고 합니다.
유교 문화를 숭상하고 학문과 예의를 매우 중시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나라의 중요한 관직을 독점하고 정치적 특권층을 형성했다고합니다
중인은 양반 다음으로 높은 신분층으로서 서울 중앙부에 거주 지역을 삼았다해서 명칭이 지어지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중인들의 전통이나 교양은 양반계급에 비교했을 때 한참을 못 미치는 수준이었으며 관직은 의·역·주·관상·율·혜민·사자·도화등등
벼슬은 한품서용의 규정에 따라 제한되어 대개 하급 관리에 임명되었고 기술 사무직에 한정되었다고 합니다.
상민은 생산 계습으로서 남세와, 공부, 군역 등의 전면적인 담당 계급이었습니다.
상민의 대다수는 농업에 종사했지만, 자신은 토지를 가지지 않고 국가 또는 양반의 토지에 대한 경작권만을 가질 수 있었기 때문에 경제적 지위는 농노와 별다를 것이 없었다고 합니다.
천민은 천역에 종사하는 가장 낮은 신분으로서
흔히 알고 있는 노비와 백정, 창우가 해당 신분계급에 속합니다.
노비는 사회적으로 정말 많은 제약 속에서 살아가야 했으며, 주인을 세습적으로 섬기는 것을 원칙으로 새겼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