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05

을숙도에 찾아오는 철새가 매년 같은 곳으로 찾아오는 것이 어떤 원리인지 궁금해요

시베리아같은 추운 북쪽 지방에서 서식하던 철새가 해마다 겨울을 나기 위해 따뜻한 우리나라 을숙도같은 남쪽 지방으로 찾아오는 원리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신기한친칠라145
    신기한친칠라14522.12.05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동양 제1의 철새도래지로 잘 알려졌으며, 1966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낙동강하류철새도래지에 속한다. 특히, 겨울철 철새가 군무를 이루며 비상하는 모습은 일대장관이다. 철새는 총 138종에 10만여 마리이다.이 중에 천연기념물인 황새·저어새·재두루미·느시 등 희귀종도 있으며, 오리과에 속하는 것이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갈매기과·농병아리과·아비과·매과·수리과·멧과 등도 개체수가 많은 편이다. 철새의 대부분은 겨울새이나 여름철에 찾아드는 여름새와 봄·가을철 잠시 쉬다가 떠나는 나그네새도 있다. 철 새에게 수십km 정도는 하루 생활권이다. 겨울 철새는 한도 내에서도 추위에 따라 이동을 한다. 천수만 등 중부 지방의 경우 11~12월, 남해안 지역은 12월부터 이듬해 2월 초순에 철새가 많이 눈에 띈다. 그 때문에 초겨울엔 중부 지방. 한겨울 및 늦겨울엔 남쪽 지방이 철새들의 주 도래지가 된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철새를 연구하시는 분들이 철새별로 이동하는 경로와 지역이 있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또한, 철새에게는 지구 자기장을 감지하는 단백질이 존재하는데, 이 단백질이 나침반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새들은 귀소본능이 강한 동물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주변 지형이나 모양새로 자신의 집을 기억하며, 자기이 활주한 길을 되돌아가 집을 찾게 되죠. 철새의 경우에는 철새를 연구하시는 분들이 철새별로 이동하는 경로와 지역이 있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또한, 철새에게는 지구 자기장을 감지하는 단백질이 존재하는데, 이 단백질이 나침반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직 철새들의 이동에서 위치를 찾는 방법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다양한 학설들이 있습니다.

    첫번째는 학습입니다. 말그대로 선대에서 배워서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두번째는 태양을 기점으로 방향을 찾는다는 가설, 세번째는 별의 위치로 방향을 찾는다, 네번째는 지구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찾아간다 등등입니다.

    다만 학자들의 연구에서는 어느 한가지로 길을 찾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인 방법으로 방향을 찾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 철새들의 이동 방법은 정확히 밝혀진 바는 없고 추측만 있습니다.

    그 중 하나는 학습에 의한 이동입니다.

    즉, 새들의 집단 지성으로 어디로 움직여야할지 학습이 되었기 때문에 다음에도 이동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 이론은 새들이 태양이나 별자리, 그리고 지구의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는 이론입니다.

    하지만 증명이 되지는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