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요리조리마수리346
요리조리마수리34623.07.22

마을입구의 장승들은 왜 모두들 화가 난 얼굴로 만들어졌을까요?

시골에 있는 마을 입구에 가게되면 서 있는 장승을 종종 만나게 됩니다. 예전에는 마을 입구마다 장승들이 있었다고 하는데요. 그런데 장승들은 왜 모두 화난 얼굴을 하고 있는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장승들은 이빨을 드러 내놓고 무섭게 만들어진 이유는 잡귀들이 못들어오게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 역활을 합니다

    강하고 늠름해야지 귀신들이 얼씬도 못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7.22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장승의 기능은 지역간의 경계표 구실, 이정표 구실, 마을의 수호신 역할입니다.

    길가나 마을 경계에 있는 장승에는 그것을 기점으로 한 사방의 주요 고을 및 거리를 표시하였습니다. 수호신으로 세운 장승에는 이정표시도 없으며, '천하대장군'류의 표시도 없고 마을의 신앙 대상으로서 주로 액병(厄病)을 빌었다고 합니다.

    슬프게 보면 매우 슬픈 얼굴이며, 기쁘게 보면 한없이 기쁜 얼굴입니다. 마을의 수호신이니 만큼 인간과 친근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표정을 지니게 되었다. 한편 이러한 표정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탈이라 부르는 가면의 표정들과도 똑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장승은 무섭기도 하고 익살스럽기도 하며 슬프게 보면 매우 슬픈 얼굴, 기쁘게 보면 한없이 기쁜 얼굴로

    마을 수호신이니만큼 인간과 친근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표정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예로부터 정승을 세운 이유는? 마을의 안녕을 위한 것으로 마을의 경계 밖으로 나쁜 기운이 들어올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이겨내기 위하여 마을로 들어오는 입구에 장승을 세워놓았습니다.

    장승의 재로는 목장승(나무) 또는 석장승(돌), 복합장승으로 만들어 졌으며,

    장승의 형태는 솟대형(새 조각), 목주형(사람 얼굴), 신장조상형(인태신 조각)이며

    장승의 생김새는 인면형, 귀면괴수형, 미륵형, 남근형, 문무관형이 있습니다.

    장승의 기능은 마을을 수호하고 잡귀를 쫓아내며 재난을 막아줄 뿐만 아니라 경사스러운 일을 끌어드리기 위하여 세웠습니다.

    ***

    보통 장승은 만드는 사람을 닮게 만들기도 한다고 합니다.

    하고 싶은 말이 많으면 입이 커지고, 본인이 바라는 바람이 들어가 제작된다고 합니다.

    무섭게 장승의 형상을 하는 이유는 귀신과 액운을 쫓아내기 위해 무서운 얼굴을 형상화하였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장승은 그 마을을 수호하는 수호신 역할을 수행합니다. 나쁜 기운이나 귀신들로부터 그 마을을 지켜야 하기 때문에 공포감을 줘야 합니다. 그 공포를 심어 주기 위해 대부분 화나거나 기괴한 표정을 짓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