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30

북극성과 그 주변 별자리가 사계절 다 보이는 이유?

북극성이 사계절 다 보이는 이유는 지구 자전축선상에 있기 때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지구가 자전과 공전을 함에도 불구하고 북극성의 위치가 변하지 않아 보이는 이유는 지구와 북극성의 거리가 아주 멀어서 공전궤도가 아무리 크다하나 별까지의 거리에 비하면 얼마 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여

그렇다면 북극성보다 지구에서 더 멀리 떨어져있는 별도 많을텐데 왜 북극성과 그 주변의 별자리만 사계절 다 보이는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되알진개미새214
    되알진개미새21424.03.26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북극성이 사계절 내내 보이는 것은 지구 자전축의 극점 근처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지구가 자전할 때 지구의 북극을 향하는 축은 거의 변하지 않으므로 북극성은 항상 같은 위치에 보이는 것처럼 보입니다. 지구의 공전 경로가 아무리 커도 북극성까지의 거리에 비해서는 극히 작기 때문에, 지구가 태양 주위를 한 바퀴 돌더라도 북극성이 하늘에서 위치가 바뀌는 것을 눈으로 뚜렷이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북극성과 그 주변의 별자리가 사계절 내내 보이는 주된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이 그 방향을 가리키고 있기 때문이며, 북극성은 그 지점에 거의 정확하게 위치해 있어 가장 분명하게 이 현상을 보여줍니다. 물론, 지구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는 별들도 많지만, 지구의 자전축이 가리키는 정확한 지점에 위치한 별은 북극성만큼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북극성이 유일하게 이런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와 반대로 남반구에서는 남극성인 시그마 옥탄티스가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북극성만큼 밝지는 않습니다. 대신 남십자성을 가리키는 방향으로 정렬된 다른 별들이 남극 근처의 하늘에서 이와 유사한 방향을 제공합니다.

    요약하면, 북극성이 특별하게 보이는 것은 그 위치가 지구의 자전축과 거의 일치하기 때문이고, 지구에서 다른 별들도 많이 떨어져 있지만 자전축과 일치하는 위치에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북극성과 같은 방식으로 일년 내내 똑같은 위치에 보이지 않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