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정겨운멧새71
정겨운멧새7123.11.08

지구는 공전과 자전을 하는데 북극성은 왜 항상 같은 자리인가요?

지구는 태양을 중심으로 초속30km로 공전을 하고 초속 460m로 자전을 하는데 우리가 보는 북극성은 왜 항상 같은 자리에서 보이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북극성이 항상 같은 위치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의 연장선 위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지구가 자전하면서 별들은 자전축을 중심으로 지구와 반대방향으로 도는 것처럼 보이는데, 북극성이 자전축의 연장선에 위치해 있어서 지구에서 볼 때 별들이 마치 북극성을 중심으로 도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죠.

    그러나 실제로 북극성의 위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변하고 있는데, 이는 세차운동이라고 알려진 현상에 의해 지구의 자전축이 26,000년을 주기로 움직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는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어요. 그리고 지구는 자전하면서 하루라는 시간 단위로도 측정되고 있어요. 이것은 지구의 자전축과 관련이 있어요. 지구의 자전축은 북극성을 지나는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어요. 그래서 지구가 자전할 때 북극성은 항상 같은 자리에서 보이게 되는 거예요. 지구의 자전축은 조금씩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북극성이 항상 정확히 같은 자리에서 보이지는 않아요. 하지만 우리가 보는 시간 단위가 너무 짧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북극성이 항상 같은 자리에서 보이는 것처럼 느껴지는 거예요.

    그리고 지구의 공전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북극성이 항상 같은 자리에서 보이는 것처럼 보이는 거예요. 이렇게 지구의 자전축과 공전 속도가 조합되어 북극성이 항상 같은 자리에서 보이게 되는 거예요.

    그리고 북극성은 지구의 북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지구가 공전하면서 북극성을 지나는 방향이 항상 같아요. 그래서 우리 눈에는 북극성이 항상 같은 자리에서 보이는 것처럼 보이는 거예요. 이게 지구의 우리가 보는 북극성이 항상 같은 자리에서 보이는 이유에 대한 과학적인 사실이에요.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북극성은 지구의 자전축과 거의 일치하는 위치에 있는 천체입니다. 지구의 자전축은 지구 표면의 북극을 지나는 가상의 선입니다. 북극성은 지구의 자전축과 거의 일치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지구가 자전하더라도 북극성은 항상 같은 위치에 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북극성"은 특정 별의 이름이 아니라 순위입니다. 그것은 지구의 천구의 북극에 가장 가까운 별을 묘사합니다.

    천구의 북극은 지구의 자전축이 천구와 교차하는 하늘의 두 지점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북극성은 지구의 자전축에 가장 가까운 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항상 같은 자리에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북극성은 작은곰자리에 있습니다. 정확히 천구의 북극에 있는 것이 아니라 약 0.65° 떨어져 있기 때문에 실제로 조금 움직입니다.

    이 별은 천구의 북극 주위에 직경 약 1.3°의 작은 원을 그리지만 육안으로는 여전히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보입니다.

    북극성은 항상 정북을 가리키지만 위도에 따라 하늘에서의 위치가 더 높거나 낮으며 남반구에 도달하면 시야에서 사라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공전은 북극성의 엄청나게 먼 거리에서 보면 거의 제자리에 있기 때문에 의미가 없고, 자전축 근처에 있기 때문에 자전을 빨리해도 북극성은 움직이지 않고 그대로 입니다. 원의 입장에서 보면 원의 중심에 가까울수록 원의 둘레가 작아지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