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빙기가 되면 토목공사시 문제점으로는 어떤것이 있나요?
아무래도 겨울이 지나고 봄이 되면 해빙기라고 해서 땅이 무르거나 하는경우가 생길수도 있는데요.
여러가지 문제점중에서 어떤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얼었던 땅속의 물이 녹으면서 지반 내 함수율이 높아지고 흙 입자 간의 결합력이 약해집니다. 결과적으로 지반의 강성과 지지력이 떨어져 구조물의 기초나 도로 포장의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사면 불안정 및 붕괴 위험 증가: 얼었던 절토·성토 사면이 녹으면서 흙의 전단강도가 감소하여 사면이 불안정해지고 낙석이나 붕괴 사고 위험이 커질 수 있고, 동결 융해로 인한 변형: 겨울철 동결과 해빙 시 수축이 반복되면서 지반 구조가 손상되어 침하, 융기 등의 변형이 발생합니다. 이는 특히 도로 포장면에 균열이나 요철을 유발합니다.
건설 장비 및 차량 통행의 어려움: 지반이 연약해져 건설 장비나 차량의 이동 및 작업이 어려워지고, 장비가 빠지거나 전도될 위험이 높아질 우려가 있고, 연약해진 지반 위에서 흙 다짐 등의 작업을 할 때 적정 함수비와 충분한 다짐도를 확보하기 어려워 공사 후 침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겨울에 추었다 봄이되면 얼었던 땅도 녹기 시작하면서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 중 지반 침하가 많습니다. 겨울에 얼었던 땅이 녹으면서 침하되어 꺼짐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로인해 사고나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겨울철 동절기 토목공사는 부실공사나 하자가 발생할 수 있어 위험이 많기 때문에 공사중지 시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해빙기는 겨울철 얼었던 지반이 녹기 시작하는 시기를 말하며, 이 시기에는 지반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예기치 않은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일 심각한 문제는 겨울 동안 얼었던 지반이 녹으면서 지반이 느슨해지고 강도가 떨어집니다.
이로 인해서 구조물의 침하, 균열 발생, 굴착면 붕괴 가능성 증가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