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1.12.15

급성백혈병의 원인과 치료여부 궁금해요

몇년전에 아는분이 백혈병으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ㅠㅠ

그냥 백혈병과 급성백혈병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같은 건데 더 위중하고 덜 위중하고의 차이일수도

있나요?

백혈병의 원인과 치료는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어떻게 치료하는지도 설명해주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주민욱 의사입니다.

    급성백혈병은 조혈모세포가 악성 세포로 변하여 골수에서 증식하여 말초 혈액으로 퍼져 나와 전신에 퍼지면서 간, 비장, 림프선 등을 침범하는 질병입니다. 급성백혈병은 백혈병 세포의 종류에 따라 급성골수성백혈병과 급성 림프성 백혈병으로 나뉩니다. 급성골수성백혈병은 가장 흔한 형태의 백혈병입니다. 주로 성인에게 발병하며, 나이가 많을수록 발병률이 증가합니다(평균 진단 연령 60대 후반).

    골수성백혈병은 골수나 말초 혈액에서 골수아세포가 20% 이상 차지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골수에서 암세포가 자라면 정상 조혈세포를 억제하여 조혈을 방해합니다. 이에 따라 빈혈, 백혈구 감소, 혈소판 감소, 백혈구증가증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골수성백혈병 중 급성으로 나타나는 것을 급성골수성백혈병이라고 합니다.

    <원인>

    급성골수성백혈병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유전적 소인, 흡연, 방사선 조사, 화학 약품 등에 대한 직업성 노출, 항암제 등의 치료 약제가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동기에 급성림프모구성백혈병 치료를 받은 경우 위험 요인이 증가합니다.

    <치료>

    1. 항암 화학 요법
    ① 관해 유도 요법
    혈액과 골수 내의 백혈병 세포를 없애는 것이 목적입니다. 만약 병이 관해되지 않으면 재관해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골수 검사상 골수아세포가 5% 미만이 되면 완전 관해에 도달했다고 판단하며, 백혈병으로 인한 증상이 사라집니다. 완전 관해가 규명되면 관해 후 치료가 시작됩니다.

    ② 관해 후 치료
    완전 관해가 되었더라도 1억 개의 잔존 백혈병 세포가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완전 관해에 이른 급성 백혈병 환자에게는 재발을 방지하고 완치하려는 목적에서 관해 후 요법을 시행합니다.

    관해 후 요법에는 공고 요법과 강화 요법이 있습니다. 급성골수성백혈병의 1차 관해기에 염색체 소견 등 예후 인자를 고려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택합니다.

    급성골수성백혈병의 일종인 급성전골수성백혈병은 다른 아형과 달리 관해 유도 치료를 시행할 때 ATRA와 안트라사이클린 계열의 항암제를 함께 투여합니다. 또 1차 관해 유도 시에 공고 요법으로 항암제 치료를 하며 유지 요법으로 2년간 ATRA를 투여합니다.


    2. 방사선 치료
    방사선 치료는 백혈병 세포가 국소적으로 침윤되거나 중추신경계를 침범했을 때 암세포를 죽이기 위해 시행합니다.

    3. 조혈모세포 이식
    조혈모세포 이식은 고용량 항암제와 면역 억제제를 투여하여 환자의 병든 골수와 백혈병 세포를 제거하고 조혈모세포를 주입하여 건강한 혈액 기능을 회복하는 적극적 치료 방법입니다. 조혈모세포 이식은 관해 후 요법 중 하나의 방법이며, 완치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1차 관해 후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을 바로 시행하는 경우에는 위험도에 따라 예후 불량 군과 표준 군을 나누고, 형제나 타인의 간에 인체조직적합항원이 맞는 공여자가 있는 경우 실시합니다. 예후가 좋은 군에서는 1차 관해 후에 고용량 씨타라빈 항암제를 공고 요법으로 투여하고, 공고 요법 후에 재발하면 2차 관해 유도 후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을 시행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고용량 씨타라빈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있어 관해 후 요법을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으로 대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최근에는 형제 또는 타인 기증자가 없는 경우 조직적합항원이 반만 일치하는 형제자매 또는 부모 자식에게 조혈모세포를 기증받아 이식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경과

    급성백혈병은 치료하지 않으면 1년 내 90%가 사망하는 치명적인 질환입니다. 그러나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수명 연장은 물론이고 상당수의 환자가 완치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2.17

    안녕하세요. 안중구 의사입니다.

    급성백혈병은 혈액 암으로 모든 암이 그렇듯이 한가지 명백한 원인이 있지는 않습니다. 가족력등 유전요인이 큰 원인을 차지하게 되고 그외에 여러가지 암을 호발하는 환경이 이를 가속하기도 합니다. 백혈병의 종류도 다양해 완치가 가능한것도 있고 치료와 생존이 쉽지 않은것도 있습니다. 항암치료후 골수이식이 기본적인 치료 방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