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귀여운팬더곰238
귀여운팬더곰23824.01.09

박쥐들은 어떻게 눈이 보이지 않는데도 사물을 잘 피하고 날라다니나요?

박쥐는 동굴 속에서 살다보니 시력이 감퇴되어 앞을 보지 못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시력이 감지된 박쥐들은 어떻게 박지도 않고 잘 날아다니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박쥐는 초음파를 지속적으로 발사시켜서 반사되는 신호를 통해서 지형을 감지할 수 있기 떄문에 어두운곳에서도 잘 다닌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박쥐는 생쥐와 달리 같은 쥐란 이름을 가지고 있지만 아주 우수한 범위 탐지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에코로케이션 이란 불리는 기술로 얼굴쪽에서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대상에 부딧혀 돌아오는 초음파를 감지해 대상의 위치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 능력을 활용해 어둠속에서도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수 있습니다. 박쥐 종별로 이러한 에코로케이션 능력이 없는 종도 있다고 합니다.

    잠수함에서 사용되는 소나 라는 탐지 기술도 이러한 박쥐의 에코로케이션 기술을 활용하여 만든 장치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초음파를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박쥐가 어두운 환경에 더 적합했고 그에 따라 시력이 좋은 박쥐는 점차 경쟁에서 밀려나게 되었고 그 결과 시력은 좋지 않지만 초음파를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박쥐가 경쟁에서 승리하여 살아남았다 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박쥐는 어두운 곳에서 살면서 눈은 퇴화되어 앞을 보지는 못하지만

    초음파를 발사하여 사물을 감지하고 피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박쥐는 앞을 보지 못하지만, 초음파를 사용하여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날아다닙니다. 박쥐는 울음소리를 내고, 그 울음소리가 물체에 부딪혀 되돌아오는 소리를 감지하여 주변 환경을 파악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박쥐는 초음파를 발생시켜서 주변 환경에 퍼뜨리고, 이 초음파가 물체에 부딪혀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과 강도를 감지합니다. 이렇게 반사된 초음파를 박쥐의 귀가 수신하여 해석함으로써 주변 환경과 물체의 위치, 크기, 모양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박쥐들은 초음파를 쏘고 되돌아오는 신호의 주기를 통해 주변 지형지물을 파악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박쥐의 시력은 퇴화 되었지만 시력을 대신해줄 수 있는 초음파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초음파를 발사하여 반사를 귀로 듣고 물체를 피해다닌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박쥐는 야행성으로 눈이 좋지 않습니다. 그래서 초음파를 보내서 그 초음파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과 간격등을 파악해서 물체가 있고 움직이고하는 것을 감지해서 먹이를 찾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09

    안녕하세요. 서수용 과학전문가입니다. 어둠속에서 활동하는 박쥐는 성대에 보통 3만~6만 Hz의 초음파를 단속적으로 물체에 부딪쳐 반사된 초음파를 귀로 포착하여 물체의 거리 방향 크기 등을 감지하여 행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