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23.05.24

서울 사투리의 예로 어떤 것이 있나요?

표준어의 규정에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라고 되어 있는데, 서울말 중에서도 표준어가 아닌 서울 사투리의 예로는 어떤 것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기-> 애기

    창피하다->챙피하다

    참기름->챔기름

    단어의 앞 음절 ㅏ가 뒤 음절 ㅣ를 만나 ㅐ로 발음하는 전설모음화 현상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해방 뒤에는 서울로 전국에서 사람들이 이주해 오면서, 오래전 서울말도 많이 사라진 게 사실입니다. 대표적인 서울 사투리 단어는 삼춘(삼촌), 구녕(구멍), 겨란(계란), 돌아댕기다(돌아다니다) 등이 있으며, ‘일도 허구, 노래도 부르구요’ 식으로 ‘ㅜ’ 발음을 강조하는 특징도 있습니다. 드라마 <서울 뚝배기> (1990년)의 안동팔(주현)이 썼던 ‘~했걸랑요’도 서울 왕십리 지역의 사투리를 옮긴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