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신중한하마99
신중한하마99

일본의 도개자의 유례는 무엇인가요?

일본은 도개자라고 하여 큰 잘못을 하였을 때 죄를 비는 방법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어떤 역사가 있었길레 이런 방식이 탄생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도게자는 땅 위에 바짝 엎드려서 절하며 사죄하는 행동을 뜻입니다. 국내에서 비슷한 뉘앙스를 가진 단어로는 석고대죄가 있습니다.

    간혹 머리를 빡빡 밀고 도게자를 행하는 경우도 있는데, 그냥 도게자만 하는 것보다 더 정중하게 사과하는 뜻이 담겨 있다. 전근대 사무라이들이 큰 죄를 저질렀을 때 주군이 할복을 면해주는 대신 절로 출가하도록 했던 것이 유래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경국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도개자(Dogaksa)는 일본의 사찰 스님들이 공부하는 시기로, 대개 7세에서 14세 사이에 해당합니다. 도개자는 젊은 스님이 사찰에서 기초 교육을 받고 스님의 길을 준비하는 시기로 여겨집니다. 도개자들은 일반적으로 주로 기도와 명상, 경전 공부, 불교적 가르침을 학습하고 스님들로부터 사찰 생활에 대한 교육을 받습니다.


    도개자는 일본 불교 전통의 일부로, 과거에는 사회적인 요소도 포함되어 젊은 남성들의 성장과 교육의 일환으로 간주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도개자 시스템은 일본 불교의 특정 종파나 사찰에만 국한되지 않고, 전통적인 사찰에서도 계속해서 존재하고 있습니다.


    도개자는 일본 문화와 종교의 중요한 측면이며, 젊은 세대의 스님들이 불교의 가르침을 습득하고 전통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도게자( 土下座 どげざ 는 땅 위에 바짝 엎드려서 절하며 사죄하는 행동을 뜻하는 일본어 단어입니다. 에도시대 다이묘(영주)의 행렬이 있을 때 서민들이 바닥에 엎드려 고개를 숙이는 것에서 유래했고 국내에서 비슷한 뉘앙스를 가진 단어로는 석고 대죄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본래 귀족이 행차할때 서민이 땅에 엎드려 존경심을 표현한 데서 비롯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