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절기에 대해tj 알려주세요
오늘 7/7일은 소서라는 절기라고 하던데 우리나라의 절기는 몇 개이며 왜 만들었을까요? 절기와 절기의 의미에 대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절기의 개념은 전세계 공통이나 24개라는 개수와 명칭,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하여 태음력의 단점을 보완한다는 발상은 중국에서 처음 고안되었습니다.
태음력이 이미 있었음에도 태양력을 보조적으로 사용한 것은 계절에 따른 날씨의 변화를 쉽게 알기 어려운 괴리감이 있던 문제점때문이었으며 태음력은 달의 모양을 통해 날짜를 바로 알기는 쉬우나 계절의 변화를 쉽게 알기는 어려웠고 농경사회였던 동아시아권에서 이를 보완할 필요성이 있었고 따라서 계절의 변화를 잘 알수있도록 황도에 기준한 절기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조선시대 무렵부터 도입된 것으로 추정하며 조선시대 이전에는 음력을 중심으로 사용했으나 음력은 기후와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음력 달력만으로는 농사를 짓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양력의 요소를 도입한 것이 24절기입니다.
봄- 입춘, 경칩, 청명, 우수, 춘분, 곡우
여름- 입하, 망종, 소서, 소만, 하지, 대서
가을- 입추, 백로, 한로, 처서, 추분, 상강
겨울- 입동, 대설, 소한, 소설, 동지, 대한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절기는 태양의 황도를 기준으로 태양의 1년을 24개의 동일한 부분으로 나누는 기후 기준입니다. 24절기는 지구에서 바라본 태양의 공전 궤도인 황도의 360도를 24개의 동일한 주기로 나누어 계산한 것이라고 합니다.
한국, 중국, 일본과 같은 동아시아 국가에서는 절기 개념이 있습니다. 절기 사이의 간격은 대략 15일이며, 날짜는 양력에서는 거의 같지만 음력에서는 약간 다르기 때문에 계절을 맞추기 위해 윤달이 추가되기도 합니다. 24절기는 절과 중으로 나뉘는데, 입춘과 같은 홀수 절이고, 우수 등 짝수 절기가 중이 된다고 합니다. 사계절은 입춘, 입하, 입추, 입동인 네 가지 절기에 시작된다고 본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