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24.04.05

브렉시트 이후 영국의 경제 상황은 어떻게 변했나요?

영국이 유럽 연합을 탈퇴하는 브렉시트를 결정했을 때, 기사에 굉장히 많이 나왔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벌써 10년이 다 돼가고 있는 상황에서 브렉시트 이후 영국의 경제 상황은 긍정적으로 변했는지 부정적으로 변했는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로나19의 확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여러 요인이 겹치긴 했지만, 영국 국민들은 브렉시트 이후 큰 혼란을 겪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브렉시트의 원인이 된 저임금의 외국인 노동자가 빠져나가면서 트럭 운전사의 수가 급감했고, 이에 따라 물류 운송 대란이 발생했습니다. 주유소에 기름이 공급되지 못해 사람들이 차에 기름을 넣지 못하는 상황까지 일어났습니다. 영국과 EU 국가 간 택배 배송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에 따라 EU 국가의 일부 온라인 쇼핑몰은 영국으로 배송해야 하는 주문을 아예 받지 않기도 했습니다. 큰 폭의 물가 상승세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영국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2022년 10월에 전년 동월 대비 11.1%를 기록했고, 11월에도 10.7%로 높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물가 급등을 억제하기 위해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이 2021년 12월부터 기준 금리를 대폭 인상해 왔는데, 이에 따라 경기가 침체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영국과 같은 경우 브렉시트 이후에

    물가상승률이 가파른 등 오히려 경제에

    악영향을 주었다고 보는 의견이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브렉시트 이후 영국 경제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부정적입니다. 브렉시트로 인해 영국 경제가 상당한 타격을 입은 것으로 보입니다.

    부정적 영향들:

    1. 경제성장 둔화

    브렉시트 이후 영국의 경제성장률은 EU 회원국들에 비해 현저히 낮아졌습니다. 불확실성 증가와 투자 감소가 주요 원인입니다.

    2. 물가상승

    브렉시트 직후 파운드화 가치 하락으로 수입 물가가 상승하여 소비자 물가도 상승했습니다.

    3. 무역 감소

    EU와의 무역장벽 증가로 영국의 대EU 수출이 줄었고, 글로벌 공급망에서 영국의 위상도 약화되었습니다.

    4. 투자 부진

    브렉시트 이후 기업들의 영국 내 투자가 크게 감소하여 성장 동력이 약화되었습니다.

    5. 노동력 부족

    EU 인력의 영국 유입이 줄면서 인력 부족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규제 완화 등 장점도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브렉시트의 경제적 효과는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평가됩니다. 영국 경제의 회복을 위해서는 EU와의 새로운 관계 정립 등 추가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상황을 전반적으로 검토해야겠지만 여러 보도자료들을 종합해보면 브렉시트 이후 영국의 상황이 단기적으로 좋아보이지는 않습니다.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100205641

    https://biz.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economy/2023/08/30/MPAX5IULLRDI5PPE4DCNDY52VU/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영국은 브렉시트로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해서 경제적인 부담이 큰 상황이며, 다음과 같은 어려움이 있어요

    • 고임금 노동시장
      과거 EU에 있었을 당시 영국으로 저임금 노동인력이 유입되었으나 현재는 영국 국민들로만 이루어져 고임금 종사만 남은 상황

    • 국제교섭력의 하락
      영국은 EU에 있었을 때 EU와 함께 목소리를 내면서 미국이나 다른 국가들과의 교섭을 유리하게 이끌었으나 지금은 인구수도 고작 6천만명에 산업이라고는 금융산업이 발단한 상태이다 보니 영국과의 교역을 통해서 다른 국가들이 크게 이익을 얻을 것이 없다 보니 영국과의 교역 감소

    • EU의 견제와 비용 촉구
      EU를 탈퇴하면서 EU에게 내야하는 벌금을 아직 다 내지 못한 상태로서 빚쟁이 국가로 전락

    • 금융산업의 몰락
      금융허브로 통했던 영국이 현재는 많은 기업들이 이탈하면서 금융허브의 지위를 상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브렉시트 이후 영국의 경제 상황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영국이 브렉시트에 성공한 이후 경제는 악화 일로를 걷고 있습니다.

    바로 저임금 노동자들이 빠져나가면서 물류 운송 대란이 일어났었고

    고물가로 인해서 내수 시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