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Mmm
Mmm24.02.04

상대성이론으로 만유인력은 틀린 건가요?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뉴턴이 물체끼리 잡아당기는 힘을 중력이라고 설명했잖아요


근데 후에 아인슈타인이 상대성 이론으로 중력은 시공간의 왜곡으로 발생한다고 말했지 않나요


물체끼리 잡아당기는 게 아니고 시공간의 왜곡으로 질량이 큰 물체 쪽으로 다른 물체가 빨려 들어가는? 현상이 마치 둘이 서로를 잡아당기는 것처럼 보여서 뉴턴이 그렇게 생각을 하고 만유인력을 제시한 건가요?


그럼 뉴턴의 만유인력은 잘못된 건가요?


실제로는 물체끼리 서로를 잡아당기지 않는다는 건가요?


+ 추가로 궁금한 건데 왜 지구는 태양 주위를 돌기만 하나요? 달도 왜 지구 주위를 돌기만 하죠? 시공간의 왜곡으로 태양 쪽이 움푹 파였으면 지구가 그 쪽으로 굴러떨어지는? 느낌 아닌가요? 왜 둘은 부딪히지도 않고 지구는 직선으로 굴러떨어지는 게 아니고 왜 돌고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뉴턴은 물체끼리 잡아당기는 힘을 중력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후에 아인슈타인은 상대성 이론을 통해 중력은 시공간의 왜곡으로 발생한다고 말했습니다. 뉴턴의 만유인력은 아직까지도 많은 실험을 통해 검증되고 있으며 우리 일상에서도 중력의 영향을 많이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은 뉴턴의 이론을 보완하고 확장시킨 것으로 더 정확한 설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인슈타인의 이론에서 중력은 시공간의 왜곡으로 발생한다고 말씀드렸는데 이것은 물체끼리 서로를 잡아당기는 게 아니라 시공간 자체가 왜곡되어서 물체가 움직이는 것입니다. 그래서 물체가 질량이 큰 다른 물체 쪽으로 빨려들어가는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지구와 달은 태양의 중력에 의해 끌려서 주위를 돌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구와 달의 운동속도와 중력의 균형이 잘 맞아서 둘이 부딪히지 않고 계속해서 돌아가는 것입니다. 따라서 상대성 이론은 만유인력이 틀린 것이 아니라 더 정확한 이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아닙니다. 상대성 이론은 만유린력의 법칙을 수정하지 않습니다. 단지 새로운 관점에서 본것이지요.

    질량간의 인력을 나타내는 기본 법칙으로 본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