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23.03.01

미 연준의 계속되는 금리인상시 문제점은?

미 연준에서는 아직도 금리인상이 멀었다고 하던데 금리를 이렇게 계속 인상하게된다면 국내외 경제가 어떻게 되는건가요? 특히 국내의 경제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종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인상하는 것은 미국 경제에 대한 인플레이션과 경제 성장률의 예상을 기반으로 결정됩니다. 미국 경제의 성장과 물가상승률이 높아지면, 인플레이션을 조절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한편, 한국은 미국의 경제 상황과는 별개로, 자체적으로 금리를 인상하거나 인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인해 글로벌 금리 상승 압력이 생기면, 한국의 금리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상승하면, 대출이 어려워지고 대출 이자율이 상승하게 되므로 소비와 투자 활동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경제 성장률이 둔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한국은 국내 민간 부채 문제가 있어서, 금리가 상승하면 부채 상환 부담이 증가할 수 있어서 이 역시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 연준에서 지속적으로 금리인상을 하게 되고 '빠르게' 하게 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은 우리나라의 달러환율이 상승하게 되고 달러환율의 상승을 막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미국을 따라서 지속적으로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들도 마찬가지인데, 그 이유는 미국의 화폐인 달러가 기축통화로서 무역에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미국은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고용시장이 견조하고 소비시장이 침체되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다른 국가들은 미국만의 빠른 금리인상으로 인해서 달러강세 시장이 만들어지고 이로 인해서 인플레이션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소비가 침체된 일본을 보더라도 인플레이션이 4%대까지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유럽의 경우도 인플레이션이 10%대에 육박하는등 세계 경제는 매우 심각한 위기 상황에 내몰려 있습니다.

    그런데 미국 또한 인플레이션율이 6%대를 넘어가고 있다 보니 금리인상을 멈출 수 없는 상황이고, 게다가 최근 인플레이션의 하락이 둔화세를 보이면서 현재의 금리수준으로는 인플레이션을 억제할 수 없다는 결론으로 이어지고 있어 향후 더욱 빠른 금리인상이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올해의 경제는 매우 심각한 위기 상황을 맞이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소비를 줄이시고 대출을 상환해두시고, 주식이나 부동산에 대한 투자는 가급적하지 않으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황대웅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지속적으로 금리 인상을 감행 한다면 국내의 원달러 환율은 계속 오르며 물가가 지속적으로 올라 경기침체가 우려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금리인상의 폭이 더 진행되면 경기침체가 더 심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있는데, 미국의 경우 추가적인 금리인상을 더 당행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우리나라도 어느정도 이에 대한 정책을 따라가야 하는 압박이 있어 정책을 결정하기 어려운 점이 있을 것이고, 금리차가 더 나게 되면 작년과 같은 강달러 현상이 더 지속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