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06.17

가을 하늘이 맑고 쾌청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가을 하늘을 보면 구름 한 점 없이 맑고 쾌청하던데 이렇게 가을만 되면 하늘에 구름도 없고 날씨가 아주 쾌청하고 맑은 원인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계절에 따른 고기압의 위치 때문입니다.


    학교에서 배웠듯이 여름철에는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을 받죠..


    여름철의 날씨를 크게 보게 되면 우리나라가 저기압이 됩니다.


    저기압의 특성상 상승기류가 존재하게 되고 그러면서 우리나라 상공에


    수증기와 또 미세먼지등이 모이죠..그러면...당연히 구름이 만들어집니다.


    여름철에 뭉게구름과 소나기...다 이런 이유입니다.



    그러나 가을, 겨울이 되면 우리나라는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습니다.


    이 경우 위와는 반대로 크게 봐서 우리나라쪽이 고기압이 됩니다.


    고기압의 특성상 높은 상공에서 밑으로의 하강기류가 존재합니다.


    이렇게 되면 상공에 있던 수증기나 미세먼지등은 다 흩어질 수 밖에 없죠.


    그래서 당연히 가을과 겨울은 하늘이 맑고 쾌청한 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파란 하늘색이 가을에 더 선명하고 깊은 파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가을에 대기가 건조하고 깨끗하기 때문에 대기 중의 수증기나 먼지가 적어서 산란이 잘되어 하늘이 더 파랗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을 하늘이 맑고 쾌청한 이유는 가을에는 여름에 비해 강수량이 적고 바람도 약하기 때문에 대기가 맑습니다 또한 가을에는 여름에 비해 습도가 낮기 때문에 하늘이 더 맑게 보입니다 그리고 가을에는 여름에 비해 온도가 낮기 때문에 대기 중의 먼지와 이산화탄소가 가라앉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가을 하늘은 맑고 쾌청하게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가을철은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기때문에, 상공의 먼지들과 구름들이 공기에 다 이끌려서 날아가고 맑은하늘을 나타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가을은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고기압은 하강 기류를 발생시켜 대기 중의 먼지를 씻어내는 역할을 하고, 이 때문에 가을에는 높은 고도에서의 산란까지 더 잘 보여 하늘이 높고 푸르게 느껴지는 것이죠.

    또한 고기압은 대기 중 습도를 낮춰 건조하게 만드는 데, 이렇게 되면 태양빛과 수증기가 부딪혀 하늘이 하얗게 보이는 현상도 줄어들어 파란색이 도드라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을에 하늘이 구름 한 점 없이 맑고 쾌청한 이유는 일반적으로 대기 조건과 관련이 있습니다. 다음은 가을에 하늘이 맑고 쾌청한 이유에 대한 가능한 요인들입니다:

    1. 안정적인 기상 조건: 가을은 대기의 안정성이 증가하는 시기일 수 있습니다. 여름과는 달리 가을에는 고기압 체계가 발달하여 대기 중의 수분과 입자들이 상대적으로 적은 수직 운동을 가지게 됩니다. 이는 구름의 생성과 확산을 억제하고, 맑은 하늘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2. 저습도: 가을은 일반적으로 습도가 낮은 계절입니다. 상대 습도가 낮으면 수증기가 증발하기 쉽고, 이로 인해 대기 중에 구름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습기가 부족한 가을은 구름이 적거나 없는 맑은 하늘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3. 대기 오염의 감소: 가을은 여름과 겨울 사이에 위치하여 대기 오염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습니다. 여름철에는 공기 중에 많은 오염물질이 존재할 수 있으나, 가을에는 대기 중의 오염이 감소하고 정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구름의 형성을 억제하고 맑은 하늘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기압 변동의 영향: 가을은 기압 변동이 상대적으로 작은 시기일 수 있습니다. 안정된 기압 패턴은 구름의 형성과 확산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맑은 하늘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가을에 구름이 적고 하늘이 맑은 현상은 위와 같은 이유들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역마다 기후와 기상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구체적인 가을 하늘의 상태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물감을 뿌린 듯 청명하고 파란 가을하늘. 다른 계절보다 가을 하늘이 유난히 더 파랗고 쾌청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는 ‘빛의 산란’과 연관이 있습니다. 빛의 산란은 태양빛이 공기 중에 떠다니는 산소, 질소, 먼지 같은 작은 입자와 부딪치면서 빛이 불규칙하게 흩어지는 현상인데요. 가을 하늘이 더 높게 보이는 이유가 바로 태양빛이 산란되는 높이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대기 중에 먼지가 많으면 낮은 고도에서 빛이 산란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하늘이 낮아 보이고 반대로 먼지가 적으면 높은 곳에 있는 미세한 공기 분자에 태양빛이 산란돼 하늘이 높아보이는데요. 9월까지는 잦은 비와 태풍으로 공기가 깨끗해지고 여기에 차고 건조한 시베리아 기단과 양쯔강 기단으로 형성된 이동성 고기압이 하강 기류를 만들어 대기 중의 먼지를 제거합니다. 따라서 깨끗해진 공기에 빛은 그 어느 때보다 높은 곳에서 산란을 해 마치 뻥 뚫린 듯한 높은 하늘을 만날 수 있는겁니다.


    가을 하늘이 더 파랗게 보이는 것 또한 같은 이유인데요. 먼지가 없는 대기에는 빛의 파장이 짧을수록 산란이 잘 되는데, 파장이 짧은 푸른색이 하늘에 많이 퍼지면서 더 선명하고 파랗게 보이게 되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을 하늘이 맑고 쾌청한 이유는 주로 공기의 건조함과 대기 중 먼지나 습기의 양이 적어지기 때문입니다.

    가을은 일교차가 크지 않고, 상대적으로 낮은 습도와 적은 강수량을 가지는 계절입니다. 특히, 가을에는 대륙과 해양의 기온 차이가 커져 대륙에서 바다로 불어오는 건조한 바람이 많아지게 됩니다. 이러한 건조한 바람은 대기 중 먼지나 습기의 양을 감소시키며, 더 많은 태양광선이 지면에 닿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하늘이 맑고 쾌청하게 보이는 것입니다.

    또한, 가을은 대기 중 미세먼지나 황사 등의 물질이 많이 발생하지 않는 계절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물질들은 대기 중 먼지의 양을 증가시키고, 더욱 탁한 공기를 만들어 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을에는 대기 중 먼지나 황사 등의 물질이 적어지면서, 공기가 맑아지는 효과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