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은 무엇인가요?
아이와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아이가 부모의 말을 잘 듣지 않거나 반항할 때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어떤 접근을 사용할 수 있을까요?
아이와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가봅니다.
아이가 컨디션이 괜찮을 때 대화를 시도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사춘기가 온 아이는 제2차 성징을 경험하게 되면서 점차 성인의 몸으로 변해 갑니다.
생리적으로는 성적 충동이 커지고 심리적으로는 성인처럼 행동해야 된다는 새로운 압박감이 생깁니다.
더구나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까지 겹치게 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겨울잠을 자러 들어간 곰이라고 생각하고 새봄에 동굴로 나올 때까지 기다려주면 어떨까 싶습니다.
컨디션이 괜찮을 때는 '힘들지? 잘하고 있으니까 너무 걱정하지마' 등의 응원을 보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뭔가를 해주려고 하면 할수록 아이는 간섭한다고 생각하여 서로 간의 갈등과 감정의 골이 깊어질 수도 있으니 말입니다.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이해하고 공감해준다면 아이도 마음을 열고 대화를 하려 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2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경청과 공감이 중요합니다.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명확하고 간결하게 의사소통해보세요. 반항할 때에는 감정을 진정시키고, 대화로 문제를 해결하며 긍정적인 피드백과 일관성을 유지하세요.
2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와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는 이유는 아이와 대화 시 감정적인 부분이 공감이 되지 않아서 입니다,.
대화는 나 대화법 보다는 너 대화법이 가장 좋아요.
즉, 강압적인 대화보다는 감정적으로 대화로 소통하는 것이 좋아요.
그렇기에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 아이와 대화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아이가 부모에게 반항하는 행동은 바람직하지 않기에 이는 잘못 된 것임을 아이에게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반항을 하면 그 즉시 단호하게 부모에게 반항하는 태도는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부모에게 반항을 하면 안되는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게 설명을 해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반항이나 예의가 없는 언행에 대해서는 단호하고 일관적으로 지도해 주시되, 부드러운 분위기로 이야기를 나누면서 아이의 바른 언어 습관에 대해서는 칭찬과 격려를 해주면서 긍정적인 분위기의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할 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와 대화가 통하지 않을 때, 서로 간의 공감대 형성이 우선적으로 필요합니다. 이때 부모님들께 조금의 노력이 필요한데요. 아이가 요즘에 좋아하고 관심있고 흥미에 있는게 무엇인지를 먼저 알아 내셔야 합니다. 그리고 그러한 요소들에 대해서 조사하고 찾아보시면서 아이와 대화할 수 있는 주제 및 소재를 찾아보시는 겁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과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부모님의 노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아이가 어릴때에는 말을 하지 못하고 몸짓으로 소통을 하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이를 캐치 해주시는게 중요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아이가 크면서 말을 잘 듣지 않거나 반항을 할 경우에는 우리 아이의 상태를 확인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사춘기라고 하면 바로 훈육을 하는것이 아니고 아이가 잘 알아 듣도록 조금은 지켜봐주시는게 좋을것으로 보입니다. 아이를 위해서는 아이를 잘 관찰하고 이해하고 있어야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