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구름은 어떠한원리로 생기는거죠?
제가 평소에 궁금한게 있었는데 먹구름은 어떠한 원리로 생기는건가여? 그리고 먹구름이 끼면 비가 무조건 오는건가여?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먹구름이 검게 보이는것, 구름이 하얗게 보이는것은 모두 빛의 산란 때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눈은 내리는 원리는 구름 속에 물방울 입자가 얼어 눈이 되고
그에 따라 무거워짐으로 인해 떨어져 눈이 내리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먹구름은 구름 내부에 응집된 수증기 양이 증가하면서 상대적으로 통과시키는 빛의 양이 줄어들어서 어둡게 보이는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색상은 흰색, 검정색으로 보이는데 이건 빛이 통과가 되고 안되고의 차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먹구름은 수증기로 이뤄진 구름 내에서 물 입자들이 형성됨에 따라 햇빛을 반사하지 못하고 통과시켜 검은색으로 보이는 것 입니다.
아무래도 흰 구름에 비해 물 입자들이 많이 존재하므로 비가 내릴 확률이 높습니다.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먹구름은 일반 구름과 비슷하나 안에 수분을 많이 가지고 있는 구름입니다.
이 수분으로 인해 빛이 통과하지 못하고 반사가 일어나 불투명도가 높아져서 먹구름이 되는 것입니다.
먹구름이 있다고 반듯이 비가 오는건 아니지만 수분을 가지고 있는만큼 확률이 높다고 할수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먹구름은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생기는 구름입니다. 공기 중의 수증기는 태양의 열에 의해 따뜻해지면서 수증기가 됩니다. 수증기가 많은 공기는 가벼워서 위로 상승합니다. 상승하는 공기는 차가워지면서 수증기가 응결하여 물방울로 변합니다. 이 물방울들이 모여 구름을 형성합니다. 먹구름이 낀다고 해서 비가 무조건 오는 것은 아닙니다. 먹구름이 생겼지만, 수증기가 응결하여 물방울로 충분히 변하지 못하면 비가 오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먹구름이 생겼지만, 바람의 영향으로 구름이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비가 내리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