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지혜로운침팬지14
지혜로운침팬지1424.01.03

생선 살이 흰색과 빨간색으로 나뉘는 이유는 뭔가요?

생선 살이 흰색과 빨간색으로 나뉘는 이유는 뭔가요?

흰살 생선은 뭔가 쫄깃한 식감이 있는 반면 빨간살 생선은 담백한 맛이던데 무슨 환경 차이로 나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재빠른반딧불251입니다.

    육상 동물은 무거운 중력을 이겨내기 위해

    튼튼한 다리와 근육을 가진 반면 물고기는 중력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살아갑니다

    또 육상 동물은 잠을 자는 경우를 빼 놓고는 잠시도 쉬지 않고

    다리와 팔을 움직이며 생존을 하는데 반해

    어류는 단지 부력에 의지한 채, 유유히 유영하는 것이 전부이며

    가끔 먹이를 낚아 챌 때 움직일 뿐이에요

    많은 근육 운동을 하기 위해선 그에 비례하는 만큼의 산소가 소모되지만

    단순한 호흡을 통해서는 원활한 근육 운동을 위한 충분한 산소가 공급될 수 없어요

    코로 들어간 산소가 폐를 거치고 다시 근육으로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만만치 않을 뿐더러

    단번에 근육에 필요한 양 만큼의 산소를 제공할 수도 없기 때문이죠


  • 안녕하세요. 외로운침팬지202입니다.

    생선마다 색깔이 다른이유는 붉은살 생선은 지방함량이 많아진하고 부드러운 맛이나고 흰살생선은 맛이담백하고 쫄깃한맛이나요

    붉은살생선은 적근이라는 근육.흰살생선은 백근으로 이뤄져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중한해파리168입니다.

    흰살 생선, 붉은살 생선의 차이점과 효능

    생선은 살(근육) 색깔에 따라 흰살 생선, 붉은살 생선으로 구분한다고 합니다. 같은 생선이면서도 둘은 다른 면이 꽤 많다고 합니다. 맛·열량·지방 함량·부패 속도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고 합니다. 주로 서식하는 물과 가장 맛이 오르는 시기도 다르다고 합니다. 흰살 생선은 맛 성분이 많아질 때, 붉은살 생선은 살이 통통하게 오를 때(지방 증가)가 제철이라고 합니다.

    흰살 생선과 붉은살 생선의 서식지 차이점

    일반적으로 바다 깊은 곳에 살면서 행동거지가 굼뜬 물고기는 흰살 생선이라고 합니다. 대구·명태·조기·가지미·도다리·넙치(광어)·조피볼락(우럭)·도미 등이 이 부류라고 합니다. 민물 생선을 대표하는 잉어·붕어·은어도 흰살이라고 합니다.

    얕은 바다에 살면서 활동성이 큰 생선은 대개 붉은살이라고 합니다. 고등어·참치·방어·정어리·멸치·꽁치 등이 여기 속한다고 합니다. 등 푸른 생선은 대부분 붉은살 생선이라고 합니다. 이들은 얕은 바다를 누비는데, 물빛과 비슷한 푸른색 등은 일종의 보호색이라고 합니다.

    흰살 생선과 붉은살 생선의 맛과 지방 함량 차이점

    붉은살 생선은 맛이 진하고 조금 비릿하다고 합니다. 흰살 생선은 비린 맛이 적고 맛이 진하지 않아 생선을 싫어하는 어린이도 잘 먹는다고 합니다. 흰살 생선의 맛이 담백한 것은 지방이 적게 들어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흰살 생선에는 지방이 100g당 0.6~2g 함유돼 있다고 합니다.

    흰살 생선 가운데 가장 기름진 가자미의 지방 함량도 1.8g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붉은살 생선은 기름져, 지방 함량이 100g당 5~17g에 달한다고 합니다. 지방이 많은 붉은살 생선을 오일 생선(oily fish)이라고도 부른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