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고요한스컹크275
고요한스컹크27523.06.27

아담스미스의 합리적 인간관은 좋은 의미인가요? 나쁜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애덤스미스는 국부론을 쓴 사람이고 경제학에서 핵심인물로 알고 있는데

그가 말한 이기적 인간이라는 말은 긍정적 의미인가요 ? 부정적 의미인가요?

아니면 가치중립적 표현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인간은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언제나 합리적이라는 주장을 했음을 상기해보면, 아담 스미스 같은 행동경제학의 근본철학이 주류와는 확실히 다름을 알 수 있는데 행동경제학파는 투기나 공황이 일어나는 이유도 인간이 때때로 비합리적인 행동을 보이기 때문이라고 말한다고 합니다. 여기서 비합리적인 행동이란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황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축구에서 누군가가 중장거리 슛을 연속으로 넣으면 사람들은 다음에도 그 축구선수가 중장거리 슛을 넣을 것으로 기대 합니다. 또한 만원 이득을 보는 것과 만원 손해를 보는 크기는 숫자상으로 보았을 때 같지만, 인간은 일반적으로 만원 손해 보는 것을 더 크게 생각하게 끔 된다던가 조금 더 맛있는 음식집이 나타나도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원래 자주 가던 식당을 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면에서 인간은 합리적인 못하다 라고 주장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호모 에코노미쿠스. 일반적으로 상업적 계산에 기초를 두고 행동하는 산업인, 또는 무한한 영리의 추구를 행위의 기준으로 삼는 영리인을 뜻하는 인간유형. 스미스(A. Smith)는 경제 현상이 인간 본래의 이기심에 의해 촉진되는 예정조화적 합리성을 지니는 것이라 생각했는데, 이와 같이 합리적인 경제 행위의 주체로 상정된 인간을 '경제인'이라 한다. 이러한 생각은 고전 경제학 이후 최근의 근대 경제학에 이르기까지 많은 경제학 이론의 전제개념이 되어 왔다. 이러한 인간관은 근대 자본주의 사회에 관한 경제행위를 추상하여 얻은 인간유형으로서, 그 기저에는 개인주의 및 공리주의적 사고방식이 깔려 있다.

    출처 : 철학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