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블록체인의 검증방식 중 PoS+DPoS(다이나믹 위임지분인증 방식) 결합한 프로젝트가 있나요?
블록체인 검증방식에는 대표적으로 PoW, PoS, DPoS 방식이 있는데요.
대부분 고민하는 부분이 트랜젝션 속도, 탈중앙화일 겁니다. 이더리움도 탈중앙화를 가급적 유지하면서 트랜젝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여러가지 시도를 하고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샤스퍼(샤딩+캐스퍼)가 있습니다. 즉 PoW+PoS 방식을 시도하고 있고요. 차후에는 PoS로 넘어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여기서 PoS방식은 DPoS방식보다 탈중앙성이 높은 대신 트랜젝션은 DPoS방식 보다 느립니다.
그렇다면 PoS의 탈중앙성과 상대적으로 빠른 DPoS방식을 결합한 방식을 도입하면 어떨까 싶습니다.
전체적인 노드가 100곳이 있고 그 중 21곳이 메인BP라 가정한다면, 이 메인BP 21곳을 램덤으로(100곳 중 아무곳 21곳을 선정) 계속 바꾸어 준다면 트랜젝션을 보다 빠르게 유지되면서 탈중앙성도 한층 높아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혹시 이런 방식을 이용한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있는지 궁금하며, 만약 없다면 이런 방식을 도입하면 어떨지 전문가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참고사항>
ㅇ "다이니믹 위임지분인증방식" 이라는 용어는 재가 임의로 작성한 용어입니다. 정식용어는 아닙니다.
1개의 답변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