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벅지 옆쪽 그 사타구니 와 허벅지 사이에 지방종일까요?
2주 전에 허벅지와 사타구니 사이 좀 더 사타구니에 가까운 곳에 혹같은게 올라와 단순 종기라고 생각하여 별 처치를 하지 않았는데 오늘 그곳이 가려워 좀 긁고 아무렇지 않게 생각했는데 집에 와서 보니 혹처럼 커져있네요 안에 물렁물렁한 동그라미도 잡히고 만져집니다 참고로 18세 남자입니다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종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모낭에 생긴 염증 덩어리를 말하는 것으로 초기에는 단단하고 만지면 아픈 붉은 결절로 시작합니다. 점차 커지면서 통증이 심해지고 고름이 잡힙니다.
후기에는 손가락으로 가볍게 눌러도 움푹 패일 정도록 물렁물렁해지고, 완전히 곪으면 고름이 터져 배출되요.
종기는 모낭에 염증이 생겨서 생기는것으로 종기가 자주 생기는 부위는 청결을 잘 유지해주시고 환기를 시켜주는 것이 종기가 생기는 것을 예방할수 있어요.
피부과에서 치료 받는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지방종이라기 보다는 피지낭종 혹은 고름집같아 보입니다.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지방종은 피부 아래에서 말랑말랑하고 둥근 고무공과 같은 느낌으로 만져집니다. 통증은 대체로 없지만 크게 자라면서 주위에 압박을 주어 통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크기, 위치에 따라 움직임에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그러나 여러 피부나 피하 조직의 양성 종양은 시진과 촉진만으로 정확히 진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지방종의 치료는 원칙적으로 외과적 수술입니다. 완전히 절제하더라도 지방종이 재발하거나 다른 곳에 새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환자의 나이, 지방종의 크기나 부위와 관련하여 큰 흉터를 남기는 것을 피하기 위해 지방 흡입술을 시행하여 지방종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미 피부가 많이 늘어난 경우에는 이러한 방법이 불가능합니다. 지방 흡입술로 크기가 줄어든 지방종은 대부분 재발하므로, 끝내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흔합니다.
지방종은 대부분 양성 질환입니다. 지방종이 악성(암)으로 변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악성 지방종(지방육종)은 양성 지방종과 무관하게 발생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지방종은 대체로 미용적인 문제나 지방종이 자라면서 운동을 방해하고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를 유발합니다. 드물게 내부 장기에 발생한 지방종이 궤양, 출혈, 장폐색 등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병원가셔서 진료 보시기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습진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습진이란
임상적으로 가려움, 홍반, 부종과 진물 등의 증상을 보이며 조직학적으로 표피의 해면화, 염증세포 침윤과 진피의 혈관 증식과 확장, 혈관주위의 염증세포 침윤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질환입니다.
치료
각 습진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분포를 보일 수 있으며, 국소적일 수 있고 전신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급성 습진 -
진물이 나거나 물집이 잡히는 급성 병변에서는 우선 시원한 생리식염수나 소독작용이 있는 KMnO4 용액(1:5000)이나 Burrow용액(aluminium acetate(1:20-40))으로 하루 3-4회, 한 번에 15-20분씩 물찜질(습포)하거나 목욕을 하여 급성염증을 가라앉힙니다. 진물이 나는 경우는 진물이 마른 후 국소도포제를 바릅니다.
2. 만성 습진 -
만성습진의 치료에는 국소 스테로이드제의 도포와 함께 피부건조를 막아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손바닥, 발바닥 등 피부가 두껍거나 태선화 병변에서는 강한 스테로이드제를 바르며, 경우에 따라서는 단기간 스테로이드제 국소도포 후 비닐이나 랩 등으로 밀봉하기도 합니다. 이런 스테로이드제 국소도포 치료가 효과가 없을 경우에는 병변 내 스테로이드 주사요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 /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사진상 정확치 않지만 지방종으로 보기보단 염증 반응 (림프절염이나 표피낭종)일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외과에 내원하셔서 정확한 진료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쾌차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