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아이가 말을 안 들을때 어떻게 하나요?

아이가 말을 너무 듣지 않아서 속상합니다. 유치원생인데 제가 시키는 걸 무조건 반대로 하고 웃고 도망가는데 처음에는 그려러니 했다가 지금은 화가 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와 마음을 터놓고 대화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 주고 공감해 주시면서 왜 자꾸 장난을 치고 말을 듣지 않는지 그 원인이 무엇인지 알아내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말을 듣지 않는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는 이유는 아이에게 제대로 된 훈육을 하지 않아서 입니다.

    즉, 단호하게 말을 듣지 않는 행동은 옳지 않음을 아이에게 전달하지 않아서 입니다.

    아이가 말을 듣지 않았다면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한 어조로 말을 듣지 않은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말을 듣지 않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도 자기 주관이 생기는 나이가 되면 싫은 건 하지 않으려 합니다

    아이의 생활 습관이 좋지 못한다면 처음 부터 너무 많은 것을 시키려 하지 말고 중요한 생활 습관

    부터 하나 하나 교육 시키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와 함께 집에서 지켜야 할 규칙을 만들어 보세요

    어떤 일을 할때 선택권을 주도록 합니다.

    아이에게 결정권을 주면 반항심을 줄이고 책임감을 기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말을 안 들을 때 부모로서 속상하고 화가 날 수 있습니다. 특히 유치원생의 경우, 자율성이 발달하는 시기로 스스로 결정을 내리고 싶어 하는 경향이 강해져 지시나 통제를 거부하기도 합니다. 먼저, 아이의 행동을 고치기 위해 긍정적인 훈육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아이가 명령을 무조건 반대로 행동할 때에는 명령보다는 선택지를 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이걸 해야 해" 대신 "이걸 먼저 할까, 저걸 먼저 할까?"라는 선택을 주면 아이가 스스로 선택하는 것에 자부심을 느끼고 따를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아이가 웃고 도망가거나 장난처럼 행동하는 경우에는 꾸중보다 차분하게 다시 설명해주고, 반복적으로 일관된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규칙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주의를 끌고 싶어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아이의 입장에서 상황을 바라보고 이해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