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과 같이할수 있는 과학 실험이 있을까요?
집에서 어렵지 않고 간단히 초등학생 자녀와 같이 할수 있는 과학실험이 있을까요?
서로 비교하면서 할수 있는 과학실험 이면 좋쿠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집에서 쉽게 할 수 있는 과학 실험으로는 '물과 기름 분리 실험', '식초와 세제로 거품 만들기 실험', '물과 소금으로 소금물 만들기 실험' 등이 있습니다. 이들 실험은 아이들이 직접 참여하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서로 비교하면서 학습할 수 있습니다.물과 식초, 물과 소금 등 다양한 용액을 혼합해 보면서, 혼합한 용액의 상태 변화를 관찰해 보세요.
물병에 물을 넣은 후, 병뚜껑을 뽑아서 물병을 뜨거운 물에 담그세요. 뜨거운 물로 인해 물병 내부의 공기가 팽창하면서, 물이 뚜껑에서 넘쳐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물에 산소를 통과 시켜보면 물이 거품이 나면서 산소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 식용유, 설탕물 등 다양한 액체를 이용하여 밀도 실험을 해보세요. 음악과 과학을 결합하여, 음파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실험을 해보세요. 위와 같은 간단한 과학 실험들은 아이들에게 과학적인 호기심을 자극하고, 과학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단, 실험을 할 때는 안전에 유의해야 하며, 반드시 어른의 지도 아래에서 실시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인터넷에 과학 실험을 검색 하시면 간단한 과학 실험 키트가
있습니다
물품을 구매 하시여 아이와 함께 실험 놀이를 하면
좋아요
간단하게 하시려면 부채를 가지고 겨드랑이를 문지르면 정전기가
발생해서 머리카락에 가져다 대면 달라 붙죠 아이들이 신기해 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요즘은 아이들과 재미있게 함께 할 수 있는 과학교육키트가 많이 있습니다.
과학교육키트를 활용해서 아이들과 과학실험을 해보는 것이 좋겠구요.
가장 간단한 과학실험은 비눗방울을 만들기, 종이배와 다른 물건을 물에 뛰어 부피와 무게감 등의 원리를 알아보는 실험을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과 집에서 할 수 있는 과학놀이는 많다고 합니다. 요즘에는 탄산음료에 사탕을 넣어서 탄산음료 내부에 있는 이산화탄소가 뿜어져 나오는 실험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얼음을 올리면 물에 뜨는 원리를 직접 보여주시면서 설명을 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물과 기름은 섞이지 않는다는 것을 직접 투명한 컵에 넣어 주시고 젓가락으로 계속해서 저어주시는것도 좋겠습니다. 그리고 계면활성제를 넣어주면 서로 섞인는 것을 보여주면서 설겆이를 할때 세제를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설명을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식물의 잎의 증산작용을 확인해보는 실험인데요. 뿌리로부터 흡수된 수분이 잎의 기공을 통해 기체가 되어 배출되는 것을 말하는데요. 대부분의 기공은 잎의 뒷면에 위치한다고 하므로 증산작용은 잎의 뒷면에서 잘 일어난다고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 현상을 식물의 잎 한개에 봉지로 감싸서 밀봉해놓으시고 다음날봐보면 물방울들이 맺혀있을겁니다. 그것이 증산작용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집에서 간단히 실험할수 있는건 우선 돋보기를 이용하여 검은 종이를 태우는 실험이 있습니다 그리고 콜라에 슈퍼마켓에서 파는 홀스 사서 넣으면 거품이 생기는 화산폭발 실험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물의 수면장력 실험은 종이컵에 물을 채우고 물감을 조금씩 넣어주세요, 물이 왜 넘치지 않고 쌓이는지 인력개념을 이용한 실험입니다. 준비물은 종이컵, 물감, 물, 스포이드 또는 물약통이 필요하며1) 종이컵을 준비하고 물감을 풀어놓은 물을 담습니다. 2) 종이컵에 가득 물이 담기면 스포이드 또는 물약통을 이용하여 넘치기 직전까지 조금씩 물감물을 넣어줍니다. 3) 종이컵 위로 볼록하게 쌓인 물을 관찰하고 사진을 찍습니다.4) 물이 왜 넘치지 않고 쌓였는지 인력의 개념을 설명해 주시면 좋을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