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27

목뒤시림, 통증(?) 심장 두근거림

나이
23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앉아있으면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왼쪽가슴이 쿡쿡 찌르는것과는 반대로
운동한다고 빨리 걷거나 하면 숨이 평소보다 가쁜것 말고는 박동이나 불편한 증상은 크게 안느껴집니다.

갑자기 소리나는것에 굉장히 잘 놀라기 시작했고

잠을 제대로 못자면서 다크서클이 굉장히 짙어졌고
일어나면 활기차기보단 무기력함에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평소에 공부를 하는편인데 몸과 정신이 다 무너지면서 아무것도 하지못하고 있습니다.

화가나면 얼굴이 빨개지고 욱하는 성질이 굉장히 잦아졌습니다.
왜 이러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사과튀김
    사과튀김23.01.27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

    불안 장애는 공황 장애, 범불안 장애, 공포증 등 다양한 질병으로 구성됩니다. 불안 장애의 원인은 하나의 요소만으로 설명할 수 없습니다. 공통적으로 불안 장애에는 유전적 요소가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공황 장애 환자 중 절반 이상에게는 1명 이상의 공황 장애 환자인 친척이 있습니다. 뇌 구조에서는 전두엽, 변연계, 기저 신경핵 등이 불안을 일으키는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후두엽이 불안의 장소라는 이론도 있습니다. 이러한 장소의 기능적 장애(신경전달물질의 부족 또는 과다)가 불안을 유발한다고 합니다.

    정신 분석 이론은 불안을 해결되지 않은 무의식적인 갈등의 표현으로 설명합니다. 불안에는 무존재가 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죽음에 대한 공포), 사랑하는 대상과의 이별에 관한 불안, 중요한 사람으로부터 사랑을 상실하는 것에 대한 불안, 자기 자신의 이상과 가치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불안 등이 있습니다.

    인지 행동 이론은 부정적인 주변 환경에 대한 과도한 인식, 주위 환경의 정보를 인지하는 과정의 왜곡, 특정 문제에 대한 자신의 대응 능력에 대한 부정적 시각으로 인해 부정확하고 부적절하게 위험을 인식함으로써 불안이 생긴다고 설명합니다.

    일상적으로 불안감이 가끔 나타나는 것은 정상적인 현상입니다. 하지만 불안감이 지속적으로 나타나 통제할 수 없어 정상적인 일상생활이 어려워지면 불안 장애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불안 장애는 다음과 같은 증상을 동반합니다.

    - 불면증(잠을 잘 자지 못하고, 잠이 들기도 힘듦)
    - 예민하고 잘 놀람
    - 사소한 일에도 지나치게 염려함
    - 집중을 할 수 없음
    - 마음이 항상 불안한 생각으로 차 있음
    - 초조함
    - 쉽게 피로함
    - 안절부절못하고 벼랑에 선 듯한 느낌이 듦
    - 근육의 경직과 긴장
    - 호흡이 빠름
    - 가슴이 두근거리고 심장박동이 빨라짐
    - 얼굴이나 가슴이 화끈거림
    - 이마 찌푸림(자신도 모르게 얼굴을 찌푸림)
    - 손발이 저림
    - 입이 마름
    - 목에 무엇인가 걸린 듯한 이물감이 느껴짐
    - 소변을 자주 봄
    - 아랫배가 불편하고 설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