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코민테른이라는 것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코민테른이라고 하는 것이 무엇인가요?

그리고 코민테른이 생겨나게 된 시기는 언제이며 설립과정

그리고 코민테른이 하는 역할은 어떤 것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19년 모스크바에서 러시아 공산당에 의해 조직된 '국제 공산당' 기구. 이 기구의 지도자는 레닌이었다. '제3인터내셔널'이라고도 통칭하는 이 기구는 세계 30개국 공산당 대표들이 참가하여 제7차 대회까지 가졌지만, 각국의 내부 사정이 복잡해짐에 따라 1943년에 해산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코민테른 (Basic 중학생이 알아야 할 사회· 과학상식, 2007. 2. 20., 이안태)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19년 모스크바에서 창설된 공산주의 국제 연합으로, 제1, 2차 인터내셔널의 국제 노동자 협회라는 명칭 대신 공산주의 인터내셔널이라는 명칭을 채택하여, 일명 코민테른이라 불린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제2인터내셔널이 각기 자국의 전쟁 수행과 자본주의 세력 재건에 참여하면서 배타적 애국주의와 자본주의 옹호 세력으로 변질되자, 파산을 선언하고 진정한 혁명적 국제주의의 계승을 내세우면서 코민테른이 탄생하였다. 이들의 강령은 마르크스, 엥겔스의 기본적 전제의 기초 위에 제국주의에 대한 분석, 프롤레타리아 독재 이론, 민족 해방 운동의 근본적 분석, 수정주의 및 사회 민주주의자들에 대한 비판 등 레닌이 세운 이론들을 포함하였다.

      특히 레닌은 노동 운동 역사상 처음으로 식민지 대중들에게 주목하여, 후진국은 선진국 프롤레타리아의 원조를 받아 자본주의적 발전 단계를 뛰어넘어 소비에트 제도로 이행하고 일정한 발전 단계를 거쳐 공산주의로 이행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로써 인터내셔널의 중심은 영국과 프랑스에서 독일로 이어졌다가 다시 러시아로 그 토대가 옮겨졌다. 1930년대 들어 파시즘이 대두하고 전쟁의 도래가 절박해지자, 1935년 제7차 대회에서는 반 파시즘 인민 통일 전선을 채택하고 이를 위하여 모든 노동자 조직의 통일 방안을 마련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시기까지 각국에서 격렬한 투쟁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1943년 5월 22일, 세계 대전의 여건으로 인해 대회를 소집할 수 없다는 이유를 밝히면서 해산을 선언하여, 오랜 기간 많은 나라에서 혁명과 해방 투쟁을 이끈 코민테른은 그 막을 내렸다.

      [네이버 지식백과] 코민테른 [Comintern] (Basic 고교생을 위한 세계사 용어사전, 2002. 9. 25., 강상원)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코민테른은 약칭이고, 정식 명칭은 공산주의 인터내셔널(Коммунисти́ческий интернациона́л, 콤무니스찌체스키 인쩨르나치오날)이며, 제3인터내셔널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고, 국제공산당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와 같은 각각의 명칭은 보통 해당 표현이 사용되는 맥락이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구별되어 사용되지만 그 표현들이 지칭하는 조직은 결국 같다. 이러한 명칭들이 혼용되는 이유는 각각의 명칭들이 가진 의미가 이 조직의 특성 중 다른 측면을 설명하는데 유의미하기 때문이다.

      -출처:나무위키

    •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코민테른은 1919년 3월 2일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3차 국제사회당대회에서 결성된 국제공산주의자연맹입니다. 코민테른의 목적과 역할은 각국 공산당간 사이의 연계를 강화하고 공산당들의 활동을 통일적으로 지도함으로써 혁명을 통해 자본주의 체제를 전복하고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달성하여 공산주의 국가를 건설하는 것는데요.

      1930년대부터 국제 환경이 변하기 시작하면서 소련이 힘을 잃어가고 공산주의 힘이 약해지거나 와해되면서 코민테른도 점차 쇠퇴하였습니다. 1943년 코민테른은 해산된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국제 공산당 회의 즉 코민테른은 1919년소련 모스코바를 중심으로 결성된 공산주의 국제연합체로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자본론에 입각하여 프롤레타리아혁명론과 계급투쟁론을 주장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19년 모스크바에서 창설된 공산주의 국제 연합으로, 제1, 2차 인터내셔널의 국제 노동자 협회라는 명칭 대신 공산주의 인터내셔널이라는 명칭을 채택하여, 일명 코민테른이라 불립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제2인터내셔널이 각기 자국의 전쟁 수행과 자본주의 세력 재건에 참여하면서 배타적 애국주의와 자본주의 옹호 세력으로 변질되자, 파산을 선언하고 진정한 혁명적 국제주의의 계승을 내세우면서 코민테른이 탄생하였습니다. 이들의 강령은 마르크스, 엥겔스의 기본적 전제의 기초 위에 제국주의에 대한 분석, 프롤레타리아 독재 이론, 민족 해방 운동의 근본적 분석, 수정주의 및 사회 민주주의자들에 대한 비판 등 레닌이 세운 이론들을 포함하였습니다.


      특히 레닌은 노동 운동 역사상 처음으로 식민지 대중들에게 주목하여, 후진국은 선진국 프롤레타리아의 원조를 받아 자본주의적 발전 단계를 뛰어넘어 소비에트 제도로 이행하고 일정한 발전 단계를 거쳐 공산주의로 이행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로써 인터내셔널의 중심은 영국과 프랑스에서 독일로 이어졌다가 다시 러시아로 그 토대가 옮겨졌습니다. 1930년대 들어 파시즘이 대두하고 전쟁의 도래가 절박해지자, 1935년 제7차 대회에서는 반 파시즘 인민 통일 전선을 채택하고 이를 위하여 모든 노동자 조직의 통일 방안을 마련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시기까지 각국에서 격렬한 투쟁을 전개하였습니다. 그러나 1943년 5월 22일, 세계 대전의 여건으로 인해 대회를 소집할 수 없다는 이유를 밝히면서 해산을 선언하여, 오랜 기간 많은 나라에서 혁명과 해방 투쟁을 이끈 코민테른은 그 막을 내렸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코민테른 > 1919년 모스크바에서 창설된 공산주의 국제연합으로 제 1,2차 인터내셔널의 국제 노동자 협회 라는 명칭 대신 공산주의 인터내셔널 이라는 명칭을 채택하여 일명 코민테른 이라고 불립니다.’

      제 1차세계대전이 발달하면서 제2 인터내셔널이 가기 자국의 전쟁 수행과 자본주의 옹호 세력으로 변질되자 파산을 선언하고 진정한 혁명적 국제주의적 계승을 내세우면서 코민테른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이들의 강령은 마르크스, 엥겔스의 기본적 전제의 기초위에 제국주의에 대한 분석, 프롤레타리아 독재 이론, 민족 해방 운동의 근본적 분석, 수정주의 및 사회 민주주의자들에 대한 비판 등 레닌이 세운 이론들을 포함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