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심심한곰255
심심한곰25522.10.30

안개는 어떻게 생기는 걸가요?

아침에 일어나면 요즘 안개가 자욱합니다.

기온차 때문에 안개가 생기는건가요?

안개가 생기는 원리가 너무 궁금합니다.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30

    안개는 일교차가 심할때 자주 발생 합니다.

    한낮 높은온도로 지표에서 수증기가 증발하여 대기에 섞여 있고,

    해가 떨어지면서 지표가 급속히 냉각되면서 지표에가까운 대기의 온도가 떨어지게되고,

    그대기에 섞여 있던 수증기가 응결되면서 발생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개>

    고기압 지대에서 새벽에 안개가 낄 수 있습니다. 밤부터 새벽까지는 식물의 광합성은 없고 호흡만 일어납니다. 그리고 호흡을 통해 수분 생성되며, 잎의 기공을 통해 나와 잎의 표면에 물이나 수증기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죠. 그리고 고기압의 영향으로 수증기가 증발하지 못하고 지표면에 쌓이게 되는데, 기온이 낮은 새벽에 수증기가 쌓이며 포화수증기량을 넘어서 안개를 형성하게 됩니다. 그리고 안개 낀 날의 낮에는 대부분 날씨가 맑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고기압 지대이기 때문이죠.

    풀숲이 아닌, 저수지가 있는곳이나 해안가, 호숫가에서는 물의 증발로 인해 안개가 발생 가능합니다.

    다른 경우는 비가 오고 난 뒤 습해진 공기와 풀잎이나 나뭇잎에서 물의 증발이 일어납니다. 증발된 수증기가 산을 오르는 기류를 만나 천천히 올라가게 되면 팽창되고 기온이 떨어지게되죠. 그러면서 수증기는 물로 변하게 되는데 이때 안개나 구름이 되는것입니다. 그래서 습한날 산에 보면 작은 안개와 구름이 많이 보이는 이유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개는 공기중에 수증기가 많고 공기가 차가워 질때 물방울을 만들수 있는 응결핵을 만나서 만들어 집니다. 그래서 안개는 날씨가 말고 바람이 약하며 대기의 온도가 내려가는 밤에 주로 만들어 집니다.

    응결핵은 반지름이 0.1 마이크로미터 이상인 흡습성 물질로 먼지나 대기오염 물질이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도시지역 에서는 안개가 매연과 섞여서 스모그 현상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개는 대기 중의 수증이가 응결하여 지표 가까이에 작은 물방울이 뜬 현상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가시거리가 감소하여 시야 확보가 잘 안되며, 가끔 약하게 빗방울이 흩날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구름과 안개의 구성 요소 및 생성 원리는 동일합니다. 그래서 지표면에 붙어 있는 구름을 안개라고 부르죠. 안개처럼 낮게 깔리는 구름인 층운도 10종 운형중에 분류되고 있습니다. 런던에서는 안개가 심할 때면 팔을 옆으로 쭉 뻗으면 자신의 손을 볼 수 없을 정도라고 하는데요, 산업 혁명 시대 당시의 영국 남부는 정말로 진한 안개와 심한 스모그가 한꺼번에 겹쳐 "노란 수프 안개"라고 자조하는 소리가 나올 만큼 안개가 자주 끼었다고 합니다.


  • 지상에서 물이 증발하면 수증기가 되어 공기중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이때 수증기가 팽창하면서 차가워지게 됩니다.

    공기는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한 양의 수증기만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다시 기온이 내려가 공기가 포화 상태에 이르면 일부 수증기가 얼게 되고

    이것이 안개로 나타나게 됩니다.

    안개는 주로 산악지대에서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