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고상한호아친123
고상한호아친12324.04.24

우리 민족의 역사 속에서 연은 어느 경우에 사용했나요?

우리 민족 놀이 중에 하나가 연으로 알고 있는데

연은 민속 놀이로만 사용되었나요?

놀이 외에 다른 목적으로 사용된 역사적 자료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연은 민속 놀이 외에도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전쟁에서 신호를 전달하거나, 적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연을 이용하여 아군에게 신호를 전달하거나, 적의 연을 보고 적이 어디에 있는지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하늘에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연을 날려 하늘과 소통하고, 소원을 빌거나 풍년을 기원하는 등의 종교적 의식을 거행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연과 관련된 역사로 유명한 것은 김유신이 비담의 난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연을 이용했다고 합니다. 647년 상대등 비담이 "여주불능선리"라는 명분으로 반란이 일으켰는데, 난 도중에 큰 유성의 낙하를 여자 임금의 패배 징조라고 내세웠습니다. 그런데 김유신이 연에다 불을 붙인 허수아비를 달아 올려 반란군의 사기를 떨어뜨려 승리하게 됩니다.

    그리고 고려 시대 최영 장군이 제주도에서 일어난 묵호의 난을 진압하기 위해 연에 군사를 매달아 상륙시키거나 연에 불덩이 매달아 공격하여 진압했다고 합니다. 이순신 장군은 군사 통신용으로 연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연은 놀이용도 뿐 아니라 군사 작전에서도 사용 되었습니다. 연은 가오리 연과 방패연으로 구분되며 전 세계 160여 개국이 연 문화를 가지고 오랫동안 연 축제를 이어오고 있으나 정작 방패연은 한국만이 가지고 있으며 전통성을 유지하고 있는 연인데 방패연의 특징은 과학적 원리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연이라는 점이다. 연 가운데 구멍이 바람을 이용하는 기술로 연의 기능성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연으로 소통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방패연은 구멍을 기준으로 상하로 구분되며 상하에 그림이나 색상을 표시하여 군사들에게 작전을 지시하는 수단이었는데 산을 표시하면 삼봉산으로 집결하거나 밤에 공격하라는 등의 지시로 흩어졌던 군사를 집결시키고 공격하고 다시 흩어짐으로 왜군을 혼란시키고 긴장시킴으로 작전을 유리하게 전개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역사속에서는 김유신이 비담의 난을 토벌할 때마침 유성이 떨어지고 이걸 두고 비담이 이건 여왕 측이 패배할 징조라고 선전해 미신을 믿는 일반 병사들의 사기가 떨어지자 김유신은 이런 미신을 진지하게 믿는 사람은 아니었으나 병사들의 믿음과 적의 선전을 역이용해 분위기를 반전시키기 위한 책략을 짰는데 밤에 불을 붙인 허수아비를 태운 연을 하늘로 띄워서 마치 유성이 다시 하늘로 올라가는 연출용으로 사용한 뒤 다음날 어제 떨어진 별이 다시 하늘로 올라갔다는 말을 반란군 군영 내에 퍼트리는 심리전을 감행하여 아군의 사기를 올리고 반란군의 사기를 흔들었습니다.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도 해전 신호용으로 연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