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비범한나무늘보
비범한나무늘보22.12.04

데자뷰 현상의 과학적 근거가 있나요?

오늘도 겪었는데요..

저는 자주 이 데자뷰 현상을 겪습니다.

마치 이미 기억속에 경험했던 장면이 또 일어난듯한

참 신기하고.. 겪을때마다 기분이 이상합니다.

이 데자뷰 현상이 발생하는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요?

전문가님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데자뷰 현상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는 없습니다. 다만 과거의 기억중에 유사한 기억을 떠올려서 데자뷰라 착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과학적으로 데자뷰는 기시감이라고 해서 어딘가에서 이미 본 것 같은 느낌입니다.

    데자뷰 현상은 정확히 파악되지 않았고, 일종의 기억장애로 보고 있습니다.

    이전의 뇌에 저장된 기억을 바탕으로 현재와 비슷한 내용을 받아들이면 기시감(데자뷰)을 느끼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데자뷰현상에 관해서는 학계마다 다양한 가설이 있습니다.

    의학계에서는 뇌의 착각으로 인해 데자뷰현상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사람의 기억은 대뇌 측두엽의 해마 부위에서 입출력 과정을 거쳐 형성됩니다. 그리고 해마방회라는 부위가 있습니다. 해마방회는 대뇌 반구의 아래 안쪽에 있는 긴 이랑으로 해마 고랑에 의하여 해마와 분리되며, 둘레엽의 부분에 속합니다. 그런데 이 해마방회는 실제 기억과 무관하게 어떤 것이 친숙한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해마방회가 활발히 작용하면 어떤 특정한 장면을 마치 기억하고 있었던 것처럼 친숙하게 느낄 수 있다는 것이죠.

    이것이 뇌의 착각으로 인한 데자뷰입니다.

    또 다른 학설은 0.025초의 지연설입니다.

    사람의 양안은 동시에 정보를 받지 못합니다. 양안의 정보의 시간차가 존재하며 그 시간이 0.025초입니다.

    왼쪽눈이 먼저 사물을 보고 오른쪽눈이 0.025초 후에 사물을 보게되어 친숙하게 느낀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과학적근거는 없고 가설만 있습니다.

    기억력 저하, 집착했던 일, 과거에 있었던 일, 스트레스, 많은 곳을 돌아다니는 사람 등등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