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대단한친칠라280
대단한친칠라28023.01.15

곰과 같이 동면하는 동물은 왜 동면을 하나요?

곰과 같이 겨울잠을 자는 동물은 거의 2~3개월 정도 겨울잠을 잡니다. 동면을 하는 동물은 왜 겨울잠을 자나요? 그리고 겨울잠을 자는 동물은 먹이나 물도 먹지 않고 어떻게 생명을 유지할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6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잠을 자는 동물은 따뜻한 계절에 먹이를 많이 섭취한 후 영양소를 몸속에 오래 저장 할 수있습니다 .

    따라서 생명을유지할 수 있는것이고

    먹이감이 없는 겨울철에는 잠을잠으로써 비효율적인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겨울잠을 자는 동물

    ㅇ 양서류 : 개구리 ·뱀 ·도마뱀 ·거북 등
    ㅇ 포유류 : 박쥐 ·고슴도치 ·햄스터 ·동면쥐 다람쥐 ·날다람쥐 ·너구리 ·오소리, 곰 등
    ㅇ 조류 : 미국의 쏙독새류
    ㅇ 어류 : 잉어, 붕어 등

    2. 겨울잠을 자는 이유

    동물은 춥고 먹이를 구하기 힘든 겨울철을 살아남기 위해 땅 속이나 나무 밑에서 잠을 잔다.

    겨울잠은 추위와 먹이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동물의 환경적응 방법이다.

    육생의 변온동물과 일부 정온동물에서 볼 수 있다.

    온도 변화가 작은 물밑이나 땅속에서 월동하며, 체온은 주위 온도와 거의 같아지고 물질 대사는 저하된다.

    (개구리 ·뱀 ·도마뱀 ·거북 등의 양서류나)

    거의 가사상태로 월동하며 체온은 기온과 더불어 내려가나 어느 일정 온도 이하로는 내려가지 않는다.

    (긴가락박쥐는 5℃, 동면쥐는 0℃)<포유류인 박쥐 ·고슴도치 · 햄스터 ·동면쥐 등>

    동면하는데 체온 ·대사는 그다지 저하되지 않고 때때로 잠을 깨서 먹이를 먹는다.

    (다람쥐 ·날다람쥐 ·너구리 ·오소리 등)

    나무나 바위로 된 자연 구덩이에서 동면하는데 체온이나 대사는 거의 저하되지 않고 얕은 수면상태로 가을에 저장한 지방을 소모하며, 암컷은 동면중에 새끼를 낳아 봄까지 먹지 않고 포유한다.(곰)

    바위 틈에서 가사상태로 월동하는 미국의 쏙독새류로 체온은 18℃(정상은 41℃)로 내려간다.(조류)

    잉어 ·붕어 등의 어류는 물 밑 또는 진흙탕 속에서 비활동적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내는데 수온이 올라가면 먹이를 먹는다.

    이 밖에 대부분의 절지동물은 휴면이라는 특수한 생리적 상태에서 겨울잠을 잔다.


  • 모든 동물이 그렇지는 않습니다.

    겨울잠이라는 것이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한 행위이며, 겨울철에 식량을 구하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즉,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이라도 겨울에 충분히 따뜻한 지역이거나 동물원에 있는 동물들은 겨울잠을 자지 않습니다.

    그러나 변온동물은 체온이 0도 이하로 떨어지면 죽을 수 있기 때문에 날씨가 따뜻해질 때까지 잠만 자는 것이 맞습니다.

    잠만 자기 때문에 에너지 소모가 적어 오랜기간 버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는 먹이를 구하기 힘들기 때문에 활동량을 최소로 줄여 에너지를 보존하는 방향으로 진화했습니다. 그래서 곰이 동면을 하는 것이고요. 그래서 곰은 동면하기 전 최대한 많은 사냥을 해서 잉여에너지를 지방으로 비축해둡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는 마실수있는 물과 식량이 부족하기때문에 동면의 방법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아낍니다.


    심박수와 호흡수를 급격히낮추고 에너지소모를 최소화하는방법으로 겨울을 나게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