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법률상담 이미지
기타 법률상담법률
기타 법률상담 이미지
기타 법률상담법률
공정한집게벌레31
공정한집게벌레3119.12.14

신규아파트를 전세를 주었습니다. 입주시에 강아지가 있는지 몰랐는데 2년후 다시 전세를 주려고 하는데 강아지 키우던방하고 거실의 강화마루가 들떠있는데 세입자의 하자 수리문의드립니다

3년된 아파트입니다.

1년동안은 제가 거주했으며 2년전에 전세를 주었습니다.

혼자거주한다 하였고. 입주시 강아지가 없었는데 강아지 두마리를 키우시더라구요.

알았더라면 세를 안주었을텐데

2년이 지나면서 다른세입자를 구하게 되었는데 집에가서보니 강아지키우는방하고 거실이 들떠있어서 수리를 요청했습니다.

거실일부분과 가운데방 수리하는데 200정도라고 하는데 30이상은 못준다고 합니다.

어떻게해야 좋을지요.

보증금에서 제하고 주는것은 안된다고 하는것 같은데 해결방법이 있을까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법률 분야 전문가 김태환변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민법 제615조(차주의 원상회복의무와 철거권)는 "차주가 차용물을 반환하는 때에는 이를 원상에 회복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동법 제374조(특정물인도채무자의 선관의무)는 "특정물의 인도가 채권의 목적인 때에는 채무자는 그 물건을 인도하기까지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로 보존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판례는 선량한 관리자로서의 주의를 기울이고 정해진 용도로 사용하다가 반환했을 경우에는 원상회복의 의무를 다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임차인의 통상적인 사용으로 인한 제품의 마모나 손상은 임차인의 원상복구의무 범위 안에 포함된다고 보기 어렵지만 임차인이 키우던 강아지로 인해 방과 거실의 바닥이 통상적인 사용으로 인한 마모나 장판의 긁힘을 넘어서서 들뜬것이라면 이에 대해 임차인은 원상복구의무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들뜬 바닥면적에 대한 평균적인 수리비용이 200정도인데 임차인이 30이상은 못준다고 한다면, 임대차보증금은 임대차관계가 종료되어 목적물을 반환하는 때까지 임대차관계에서 발생하는 임차인의 모든 채무를 담보하는 것이므로, 임차인이 부담할 원상복구비용인 수리비 200은 임대차보증금에서 공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바닥 들뜸에 대한 수리비용 200이 지나치게 과중한 비용이라면 임차인은 질문자분을 상대로 공제된 200만원중 일정부분에 대한 반환청구소송을 제기할 가능성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