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요리조리마수리346
요리조리마수리34623.06.12

파랗고 푸르른 가을 하늘을 바라보면 기분이 참 좋아지는데요. 가을 하늘이 계절중에서 유독 파란이유는 무엇일까요?

파랗고 푸르른 가을 하늘을 바라보면 기분이 참 좋아지는데요. 가을 하늘이 봄,여름,가을,겨울 4계절중에서 유독 파랗게 더 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을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는 대기 중의 먼지와 수증기, 오존 등이 최소화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먼지와 수증기는 빛을 산란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입자들이 많으면 빛이 붉은색, 주황색, 노란색 등으로 흡수되기 때문에 하늘이 빨간색 또는 주황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반면, 파란색은 빛의 파장이 짧아서 산란이 잘 되는 색상입니다. 따라서, 대기 중에 먼지와 수증기가 적을수록 파란색 빛이 산란되어 하늘이 파랗게 보이게 됩니다. 또한, 가을에는 대기 중의 오존량이 증가하는데, 오존은 파란색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에 가을 하늘이 더욱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색 으로 보이는 이유는 빛의 산란 때문입니다.

    태양빛은 지구 대기를 통과할 때 지구의 대기를 구성하고 있는 기체 분자와 부딪치면 여러 색깔로 분산됩니다.

    빛의 파장이 같은 거리를 이동한다면 붉은색보다는 파란색 계열이 더 많이 움직이기 때문에 산란 과정에서 보라색과 파란색이 붉은색보다 훨씬 더 크게 산란이 일어나며 우리의 눈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특히 가을에는 대기의 성분 때문에 더욱 파랗게 보이는 것인데요 다른 계절에 비해 공기중 비산물이 거의 없고 고기압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을에는 대기 중에 수증기가 상대적으로 적어지기 때문에 가을에는 파장이 짧은 파란빛이 더 잘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파란빛보다 파장이 더 짧은 보랏빛의 산란도 크지만 사람의 눈은 보라색보다 파란색에 더 예민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하늘이 보라색이 아닌 파란색으로 느껴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가을은 일반적으로 대기가 상대적으로 맑고 청정한 편입니다. 이로 인해 가을 하늘이 더 파랗게 보이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