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자비로운큰고래198
자비로운큰고래19823.11.26

저항 숫자가 2.22k 2.47k과 같이 애매한 이유

저항값을 보는 도중 2.22k나 2.47k와 같이 정수가 아니라 소수로 애매한 이유가 궁금해졌습니다

단지 오차 범위를 고려해서 그런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저항값이 소수로 나오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일반적인 이유는 오차 범위를 고려한 결과입니다.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측정기기들은 모두 정확한 값을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측정된 값에는 항상 오차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오차는 측정기기의 정확도 측정 방법 등에 따라 다르며 이를 고려하여 측정된 값은 소수점 이하 자리수까지 표기됩니다.

    그리고 저항값은 일반적으로 오옴(O) 단위로 표기되는데 이는 저항값이 매우 작은 경우에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예를 들어 0.001옴과 0.0001옴은 매우 작은 차이이지만 오옴 단위로는 1옴과 0.1옴으로 표기됩니다. 따라서 소수로 나오는 것은 오차 범위를 고려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이유로는 저항값이 정확히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옴의 저항값을 측정하려고 할 때 측정기기가 0.1옴 단위로 측정을 한다면 실제로는 1.1옴이라는 값이 측정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도 소수로 나오는 것은 정확한 측정 결과를 반올림하여 표기한 것입니다.

    따라서 저항값이 소수로 나오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가장 큰 이유는 오차 범위를 고려한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고려하여 측정된 값은 신뢰성 있는 값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