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수리무
수리무23.03.20

단종은 왜 노산군이라 부르지 않나요?

수양대군에 의해 왕위에서 물러난

단종은 수양대군이 노산군으로 강등 했는데 노산군으로 부르지 않고 단종이라고 부르나요?

광해군과 연산군은 왕에서 군으로 강등되어 광해군,연산군이라 부르고 있는데 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종은 수양대군에 의해 왕위를 뺏기고, 노산군으로 좌천도어 강원도 영월에 유배되었죠, 거기서 다시 서민으로 강봉되고 생을 마감합니다.

    그러나, 뒤에 숙종때 노산대군으로 추봉되고, 신규의 상소로 복위 되어 묘호가 단종이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임금자리에서 쫓겨나 상왕이 되었는데....

    사육신의 복위 시도가 걸린 뒤 1457년 노산군으로 강등되고 영월로 유배됩니다.

    단종이라는 묘호가 내려진 것은 숙종때.... 1698년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종이 노산군으로 물러났지만

    사림파가 성장하여서 세조 정권 성립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하였고 단종의 죽음을 억울한 것이라고 평가하며

    다시 재고 하게 되어서 숙종때 왕으로 추복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을 이끄는 지식인, 지배층인 사림들의 단종 복권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중종대 소릉 복귀, 노산묘에 대한 치제 거행, 노산군묘에 대한 수리와 치제등으로 이어지며 단종 복권의 여론이 형성되었고, 숙종 7년 노산대군으로 승격된 후 숙종 24년 단종으로 복위, 추존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종이 노산군으로 강등 된 이유는 어쩔 수 없이 수양 대군이 왕이 되기 위한 선택 이였고 단종은 아무런 잘못이 없었기에 후대에 다시 단종으로 복위 된것 입니다. 반면 연산군이나 광해군은 본인 스스로가 실정을 통해서 왕위를 걷어 차버린 경우에 해당되어서 군으로 강등 된 것 입니다. 그러니 다시 후대에 왕으로 복위 될 이유가 없었지요.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단종은 왕위에 오르자마자 왕비 승현왕후와의 사이에서 정치적 갈등이 일어났습니다. 이후 단종은 왕비의 정치세력인 노귀(盧貴)파와의 충돌로 인해 1453년에 폐위되었습니다. 이 폐위를 단종 자신은 "노산"(露山)이라는 별칭으로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단종의 폐위는 노귀파와의 정치갈등과 왕비와의 가족적 갈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를 간단히 노산군이라고 부르는 것은 단순화된 해석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단종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노산이라는 별칭은 그의 폐위 사실과 관련하여 역사적으로 기억되고 전해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