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자녀에게 하늘이 파란이유등 쉽게 설명하는방법이 있을까요?
아이가 초등학교에 들어가게되는데 하늘,구름,별등 생성원리 등 물어보는데 아이눈에 맞게 설명을
잘못하겠는데 쉽게 설명할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의 빛은 여러가지 파장을 가지고 있는데
그중 파란색의 파장이 대기에 산란되기때문에
하늘이 푸른색으로 보이는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일단 질문자 분께서 관심을 가져 주기적으로 학습하셔야 쉽고 정확한 설명이 됩니다.
아이가 물어보는 질문에 들어간 단어 위주로 검색하셔서 지식을 쌓아보세요.
아주 깊이 있는 지식이 아니라면 검색으로도 충분히 이해하고 설명이 가능합니다.
못하시겠다면 굳이 직접 설명해주시지 않고 검색하는 방법, 논문 사이트 결제 등으로 궁금한건 아이가 직접 알아볼 수 있게 하는 것도 좋을 듯 하네요.
빛의 굴절, 산란 때문 입니다.
지구의 대기를 구성하는 산소와 질소가 태양빛과 부딪칠 때,여러 빛으로 분산됩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이 분산된 빛 중, 파란색이나 보라색 빛이 훨씬 많이 퍼지기 때문입니다.
그 외 여러 환경에 의해 다른 빛이 분산된다면 바로 그 색깔로 보이게 됩니다.
그래도 잘 모르겠다면 유튜브 영상 등을 참고해보시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윤하 과학전문가입니다.
낮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는 빛의 산란현상 때문입니다.
우리 눈은 태양빛 중에서 가시광선 영역만을 볼 수 있습니다. 가시광선은 대기를 통과하면서 대기중의 질소, 산소분자 등에 의해 산란이 됩니다. "산란"이란 대기중의 작은 알갱이들이 빛을 흡수하여 사방으로 다시 방출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대기의 산란정도는 빛의 파장에 따라 그 정도가 달라집니다. 여기서 파장이란 파동의 마루와 마루 사이의 거리를 말하는데, 우리가 흔히 말하는 붉은색 빛의 파장이 가장 길고, 주황색, 노랑색, 초록색, 파란색, 남색, 보라색 순으로 갈수록 짧아집니다.
파장이 짧을수록 산란이 강하게 일어나므로(레일리산란) 낮에 파장이 짧은 청색 빛이 산란이 일어나 대기는 청색 산란광이 지표에 가장 많이 도달하는 두께를 갖고 있는 셈인며, 대기의 광학적 두께가 깊어지는 아침과 저녁에는 파장이 짧은 영역의 청색 빛은 대부분 산란되어 버리고 장파장 영역이 빛이 지표에 많이 도달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아침노을 및 저녁노을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태양에서 오는 빛 중 가시광선 영역의 빛이라고 우리 눈에 보이는 빛이 오는데요
이 가시광선을 우리 지구의 대기층이 산란 시키기 때문에 우리 눈에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거랍니다.
더 설명을 드리자면, 레일라이 산란이라고 파장이 짧을 수록 산란이 더 잘 된다는 이론이 있는데요
밑에 그림 자료를 보시면 가시광선 영역에서 보라,파랑 쪽으로 갈수록 파장이 짧은 것을 보실수 있습니다.
그래서 태양에서 오는 가시광선이 대기층에서 산란 될 때 보라, 파랑이 산란이 다른 색보다 잘 되어서
우리 눈에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거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