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 자동차 안전성이 해결될까요?
지금도 여러군데서 무인 자동차를 시험하고 있는데 사고가 나고 있다고 합니다. 무인 자동차가 수시로 데이터를 모으는데 끊어지면 안전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자율주행이나 무인 자동차에 대하여 계속해서 연구가 되고 있는 실정이니 아마
안정성이 점차 개선되다가 완전히 해결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무인 자동차 분야의 선두주자는 아이러니하게도 자동차 제조사가 아닌 sw형 기업, ‘구글’입니다. 구글은 2012년 5월에 토요타 프리우스 차량을 이용하여 ‘구글카(Google car)’라는 무인 자동차를 개발했고, 미국 네바다 주에서 시험운행을 시작하여 50만km를 운행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현재 개발중이며 자율주행차의 단계별로 존재합니다. 그리고 무인 자동차의 안정성은 지속적으로 실험하고 테스트 해보며 안정화 될것으로 판단됩니다. 하지만 100% 안전한것은 없기 때문에 생각치도 못한 변수에 있어서는 위험할 수 있습니다.
자율주행은 총 6단계로 구성이됩니다. 현재 3단계 정도 입니다.
0단계 : 자율주행기능이 없음.
1단계 : 자동 브레이크나 자동 속도 조절인 크루즈 컨트롤, 차선이탈 경보 시스템 등이 있음.
2단계 : 페달 조작없이 주행 가능, 방향지시등을 조작함에 따라 차선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기능이 있음.
3단계 : 차량에 내장된 컴퓨터가 교통신호, 도로 흐름을 인식하여 주행을함. 주로 고속도로에서 기능 사용 가능.
4단계 : 고속도로, 일반도로에서 자율주행이 가능. 운전자가 휴식이 가능.
5단계 : 무인 자동차 가능.
자율주행차는 빅데이터, AI를 기반으로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프라가 구축되기 전까지는 그리고 기술이 더 많이 발달하기 전에는 아직 불가능한 것으로 압니다. 기술, 제도, 인프라 등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무인 자동차가 상용화 될 것으로 보입니다.
무인자동차에서 가장 중요한것은 센서와 인공지능 그리고 네비게이션 지도, 도로의 컨디션 (차선 등), 인공위성의 상태 등의 정확성입니다.
이 모든 것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돌아가야 하나 어느하나 부족하면 무인자동차의 자율주행은 불가 할 것으로 생각 됩니다.
무인자동차의 안전성이 가능하냐 불가능하냐 따지는 것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무인 자동차가 필요하다면 그러한 연구를 계속할테고,
가능할때까지 연구를 하는 사람이 있다면 언젠가는 가능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데이터가 끊기면 위험하겠죠 하지만 요즘 무인자동차의 경우 카메라나 센서가 있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데이터가 끊긴다고해도
자체적으로 위험 방지 시스템이 가동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인자동차가 안전성을 확보하기위하여 안전한 통신시스템을 갖춰야 할것으로 생각됩니다.
라이다와,레이더 센서등을 통해서 자율운항을 해야하는데, 신경계 하나가 마비가되면 안전사고가 발생할것으로 보입니다.
안전은 단 0.001%도 양보할수없음으로 기술의 발전이 더 진행되어야할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