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24.03.13

달의 앞면과 뒷면은 왜 다른건가요?

달의 앞면은 달의 바다라고 부르는 거뭇한 공간이 많은데, 반면 뒷면은 하얗고 크레이터라고 불리는 울퉁불퉁한 면이 많던데요. 어째서 앞면과 뒷면의 차이가 생겨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달과 지구의 자전 및 공전 속도가 일정하다보니 지구를 바라보는 면에 모든 것들은 지구를 향에 있게 됩니다. 즉, 지구의 중력 영향을 더 받게되는 거죠. 그래서 반대편의 지형이나 모습은 앞면 과는 전혀 다른 형상을 띠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의 앞면은 주로 평평한 바다와 큰 평원이 많이 있어 밝고 부드러운 모습을 보이는 반면, 뒷면은 주로 울퉁불퉁한 산맥과 크레이터로 이루어져 있어 더욱 울퉁불퉁한 모습을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의 앞면과 뒷면은 지구에서 관측하는 것과는 다른 모습을 보입니다. 이는 달의 자전과 공전이 동일한 속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달의 자전은 자전축이 없어서 자전하는 것이 아니라 공전하는 동안 달의 모든 면이 지구 쪽을 향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보는 것은 항상 달의 앞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달의 뒷면은 지구에서 관측할 수 없는 면입니다. 이는 달의 자전과 공전이 동일한 속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달의 뒷면은 항상 지구 쪽을 향하지 않는 상태로 남게 됩니다. 그래서 달의 뒷면은 우리가 보는 것보다 더 어둡고 크레이터와 울퉁불퉁한 지형이 많이 보입니다.

    그리고 달의 앞면과 뒷면은 지구에서 받는 영향이 다릅니다. 달의 앞면은 지구의 중력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바다와 같은 평탄한 지형이 많이 보입니다. 반면 뒷면은 지구의 중력에 의해 덜 영향을 받기 때문에 크레이터와 울퉁불퉁한 지형이 많이 보입니다. 이러한 차이는 달의 모습을 더욱 다채롭게 만들어주는 요소이며 우리에게 달의 미스터리를 더욱 흥미롭게 만들어줍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의 앞면과 뒷면이


    다른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요인으로 설명됩니다.



    지구의 중력은 달에게 영향을 미쳐 달의 자전 속도를 감소시켰습니다.


    현재 달은 지구를 한 번 공전하는 주기와 자전하는 주기가 같아서 항상 지구에게 같은 면만


    보여주는 조석 잠금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달의 앞면과 뒷면은 충돌 역사에서도 차이를 보입니다.


    달의 앞면은 뒷면에 비해 더 많은 마그마 바다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과거에 거대한 충돌이 일어났음을 증거합니다.


    뒷면은 앞면에 비해


    마그마 바다가 적고, 오래된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두 가지 요인으로 인해 달의 앞면은


    뒷면에 비해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형: 앞면은 뒷면에 비해 평평하고, 마그마 바다로 뒤덮여 있습니다. 뒷면은 앞면에 비해 거친 지형을 가지고 있으며, 크레이터가 더 많습니다.





    화학 성분: 앞면은 뒷면에 비해 휘발성 물질 함량이 더 높습니다.





    암석 나이: 앞면의 암석은 뒷면의 암석에 비해 더 젊습니다.



    달의 앞면과 뒷면의 차이는 달의 역사와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의 앞면과 뒷면이 다른 이유는 '달의 자전주기' 때문입니다. 달의 자전주기는 달이 자기 축 주위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이 주기 동안 항상 같은 면이 지구 쪽을 향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등장 결합'이라고 부르며, 이로 인해 지구에서는 항상 같은 면만을 보게 됩니다. 그래서 달의 앞면과 뒷면이 서로 다르게 보이는 것입니다. 이는 달의 회전 주기와 공전 주기가 같아서 항상 같은 면이 지구 쪽으로 향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거대한 충돌이 벌어진 곳에선 달 표면이 움푹하게 파이는 거대한 분지가 만들어집니다. 그 충격의 여파로 내부의 물질이 요동치면서 정반대편으로 내부 물질이 쏠리게 되는데요 이렇게 달 앞면의 특정한 영역에 밀집된 방사성 원소들은 막대한 열을 방출하고, 이 지역에서 유독 화산 활동과 마그마 분출이 활발하게 벌어지게 만들지게 되고 결국 달 앞면은 새로운 마그마가 표면을 모두 덮어버리면서 지금의 매끈한 표면이 된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임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의 앞면과 뒷면이 다르게 보이는 것은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한 결과입니다. 달의 앞면, 즉 지구에서 관측되는 면에는 어두운 바다(마레, mare)라 불리는 넓은 화산 평원이 많이 분포해 있으며, 이는 과거 화산 활동으로 인해 형성된 것입니다. 반면, 달의 뒷면은 이러한 바다가 거의 없고, 대신 더 많은 크레이터와 산지가 분포해 있어 울퉁불퉁한 모습을 보입니다.

    달의 앞면과 뒷면의 차이는 주로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설명됩니다:

    1. 두께 차이: 달의 지각은 뒷면에서 더 두꺼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두께 차이는 달의 초기 형성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두꺼운 지각 때문에 뒷면에서는 마그마가 표면까지 도달하여 바다를 형성하기 어려웠을 수 있습니다.

    2. 조석 고정: 달은 지구에 대해 조석 고정 상태에 있어, 항상 같은 면만을 지구 쪽으로 향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앞면과 뒷면의 열적 조건과 우주 환경에 차이가 발생하며, 이는 앞면과 뒷면의 지형 발달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3. 외부 충격의 차이: 달의 뒷면은 우주 공간에서 오는 소행성과 혜성의 충돌로부터 상대적으로 보호받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뒷면에는 더 많은 충돌 크레이터가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4. 내부 열적 활동: 과거 달 내부의 열적 활동이 앞면에서 더 활발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앞면에는 더 많은 마그마가 표면으로 분출하여 어두운 바다를 형성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달이 지구와의 조석 상호작용, 그리고 내부와 외부에서 받는 다양한 영향에 의해 오랜 시간 동안 점차적으로 발달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의 달 탐사와 연구를 통해 알려진 이러한 차이는 달의 진화와 지질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의 앞면과 뒷면이 다른 이유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첫째, 달은 지구의 중력에 의해 지구를 향해 항상 같은 면을 유지하며 자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구에서 볼 수 있는 달의 앞면은 항상 지구를 향하고 있고, 뒷면은 항상 지구를 등지고 있습니다. 즉, 앞면은 지구가 있어 유성의 충돌이 적은 반면 달의 뒷면은 그대로 개방되어 있어 잦은 유성의 충돌에 의해 크레이터가 많아 울퉁불퉁하게 보이는 것입니다.

    둘째, 달의 앞면과 뒷면의 지질적 차이는 앞면이 뒷면보다 지각이 더 얇기 때문입니다. 달이 식기 시작하면서 먼저 쌓이게 된 물질은 알루미늄과 칼슘입니다. 이러한 물질들이 달 맨틀 중에 있는 규산염과 결합해 사장석을 형성했고 결국 표면으로 이동해 지각을 형성하게 됐습니다. 그런데 이 물질들은 빠르게 식어가는 달 뒷면의 대기 중에서 응축하였고 앞면보다 뒷면에 광물이 더 많아졌습니다. 그러한 이유로 앞면보다 뒷면에서 더 두꺼운 지각이 형성이 된 것입니다.

    다시 말해 이러한 차이는 달의 앞면과 뒷면이 각각 다른 환경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달의 앞면은 지구로부터의 중력 작용으로 항상 지구를 향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달의 앞면은 지구의 대기, 지구에서 발생하는 지진 등의 영향을 받습니다. 반면에 달의 뒷면은 이러한 영향을 받지 않으며, 대신 태양의 복사 에너지와 우주에서 오는 고에너지 입자 등에 직접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적 차이가 달의 앞면과 뒷면의 지형적 차이를 만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달 앞면과 뒷면의 차이는 거대한 천체와의 충돌로 인해 발생했습니다. 초기 달은 뜨거운 암석덩어리였는데, 앞면에 거대한 충돌이 일어나 얇은 지각과 광활한 현무암 바다가 형성되었습니다. 반면 뒷면은 충돌 영향이 덜하여 두꺼운 지각과 크레이터가 그대로 남았습니다. 지구와의 조석 잠금 현상으로 인해 달은 앞면만 지구를 향하게 되어, 앞면과 뒷면의 차이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의 앞면과 뒷면은 확연하게 다른데, 이 차이는 지질학적인 역사와 화학적인 성분에서 비롯됩니다. 여러 가지 이유로 달의 앞면과 뒷면은 서로 다른 모습을 보이는데요, 그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자전과 공전 속도: 달은 지구 주변을 공전하면서 동시에 자전하고 있습니다. 이 때 달의 자전 속도와 공전 속도가 동일하다면 항상 같은 면이 지구 쪽을 향하게 됩니다.이렇게 되면 달의 앞면은 항상 지구에서 볼 수 있는 밝은 면이 되고, 뒷면은 항상 어두운 면이 되는 것이죠.

    지질학적 차이: 달의 앞면은 방아 찧는 토끼 모양으로 어둡게 얼룩진 평탄한 저지대 지역이 넓게 펼쳐져 있습니다. 이 지역을 달의 바다라고 부릅니다. 반면 달의 뒷면은 거의 찾아볼 수 없는 바다가 아닌 밝은 색의 암석으로 얼룩져 있으며, 많은 크레이터로 울퉁불퉁하게 보입니다.

    달은 지구를 향해 검고 부드러운 얼굴을 보여주지만, 뒤에는 밝은 색의 크레이터 여드름으로 얼룩진 등짝을 숨기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이 형성되는과정에서 외부의 영향을 다르게 받아서 그런걸로 파악됩니다. 즉 형성 후 외부영향인거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