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사사소
사사소22.12.08

달의 앞면과 뒷면의 표면 모습이 크게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보통 달의 위성 사진을 보면 앞면에서는 매끄러운 부분도 반 이상 존재하고 울퉁불퉁한 부분도 일부 존재하는데, 뒷면의 표면은 거의 대부분 울퉁불퉁한 크레이터로만 이루어져 있더군요. 그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뒷면에는 바다가 몇 없는 대신 충돌구로 가득찬 지형이 많습니다.

    여러 가설들이 있습니다만, 달의 앞면부 쪽에 열을 발산하는 원소들이 밀집된 정도가 더 높아 크레이터가 생성되었다고 보는 설이 가장 유력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은 자전과 공전의 주기가 같습니다. 그래서 지구에서 볼때는 달의 한쪽 면만 관찰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달의 뒷면을 관측하려면 인공위성으로 촬영하거나 직접 달에 착륙하여 관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달의 앞뒤 표면이 많이 다른 이유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진 않았습니다. 달의 분화구에서 뿜어져나온 파편들이 반대쪽에 쌓였을 것이라는 추측, 소행성과의 충돌을 지구가 막아줘서 반대쪽만 충돌이 일어났다는 추측, 거대 소행성이 충돌하면서 파편들이 반대쪽에 쌓였다는 추측 등 가설만 존재합니다. 달의 반대편은 평소 관측이 불가하기 때문에 달 뒷면에 대해 많은 상상들이 있습니다. 미국, 러시아 등의 비밀 우주 기지, 외계인의 정착지 등 영화나 소설에도 자주 등장하는 소재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보는 달의 앞면은 항상 지구를 향하기 때문에 소행성 충돌에 비교적안전하지만

    뒷면른 소행성충돌을 그대로 맞아 크리에이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은 대기가 없기 때문에 많은 혜성에 노출됩니다. 앞뒤가 다소 다른 모양은 단순히 혜성이 충돌이 많이 됬는가 안됬는가의 차이일뿐 특별한 이유가 있는건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이 지구를 바라보는 부분은 많은 소행성이나 운석이 지구에 의해 막히게 됩니다.

    하지만 반대편은 그런 부분이 없이 소행성과 운석이 바로 달에 도달하는 것이죠.


    넓은 바다라는 우주에의 달이라는 섬에 지구라는 방파제가 있는 부분은 파도가 덜하고 방파제가 없는 부분은 파도가 강한 것과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앞면과 뒷면이 운석을 맞은 자리가 다르고, 다양한 우주 작용에 의해서 다른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명재 과학전문가입니다.

    40억년 전에 달이 생성되고 5억년이 지났을 무렵에는 달의 앞면의 온도와 뒷면의 온도의 차이가 있을거라고 추축되어요. 달의 앞면의 온도가 더 커서 앞면을 구성하고 있던 우라늄 토륨등의 방위 원소를 녹여서 그런것으로 추측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