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뽀로로
뽀로로23.07.17

비를 품은 구름은 왜 어두운 색인가요?

일명 먹구름이라고 비를 몰고다니는 구름은 색이 어두컴컴한 색으로 보이게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비가 만들어지는 것과 관련이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증기를 많이 머금은 구름일수록 통과하는 빛의 양이 적어지고 그 두께 또한 상대적으로 두꺼워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비가 내리기 직전의 구름일수록 가장 어둡게 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구름은 하얗게 보이는 구름과 차이가 있습니다.


    먹구름이라고도 하지요. 먹구름은 그 두께가 두껍고 수증기를 많이 함유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비를 내릴 가능성이 그만큼 커지요.


    또한 수증기를 많이 함유하고 있고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태양빛을 거의다 흡수해버려서 우리의 눈에는 시커멓게 보이는 것입니다. 빛의 투과율이 일반 구름에 비해서 적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구름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충분히 커지면, 빛이 구름 내부로 들어오면서 굴절됩니다. 이 굴절은 구름 내부에서 빛의 경로가 바뀌면서, 빛이 여러 방향으로 산란됩니다.

    구름 내부에서 빛이 산란되면, 빛의 파장이 더욱 짧아지면서 파란색이 강조됩니다. 따라서, 우리가 지상에서 보는 구름은 파란색에 가까운 색상으로 보입니다. 반면에, 빨간색은 파장이 길어서 구름에서 산란되지 않고, 그대로 지나가기 때문에 구름에서는 보이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구름은 빛의 산란으로 모든 빛을 산란하여서 하얀색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비가 오는 구름은 구름에 더 많은 물방울이 포함되어 있어서 빛이 산란 및 반사되지 않고 많이 흡수되어서 어두운 계열의 색으로 보인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먹구름은 대체로 어두운 회색 또는 검은색으로 보이는 구름으로, 비를 동반한 강한 대기 현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색상은 먹구름 내부의 구름 입자들이 빛을 흡수하고 산란시키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구름은 빛을 반사, 흡수, 산란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구름은 백색 또는 밝은 회색으로 보이는데, 이는 태양 또는 달의 빛이 구름 입자들에 반사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먹구름은 구름 내부의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들이 빛을 흡수하여 반사되지 않고, 대신 빛을 산란시키는 경향이 강합니다. 이로 인해 먹구름은 어두운 색상으로 보이게 됩니다.

    먹구름은 비와 관련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비를 동반한 대기 현상에서는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들이 더욱 밀집하여 더 많은 빛을 흡수하고 산란시키기 때문에, 먹구름이 더욱 짙고 어두운 색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먹구름은 비가 내릴 수 있는 구름이고, 일반구름과 달리 수증기, 물의 함량이 높고 물방울의 크기가 큽니다(비내리기 직전, 비가 내리고 있는 상황). 그래서 빛이 먹구름 내에 물방울에 산란하지 못하고 흡수되어 어두운 먹구름이 되는 것이죠. 그리고 햇빛이 먹구름에 흡수되기 때문에 우리가 있는 지면까지 잘 닿지 못하여 우중충하고 어두운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먹구름은 비를 몰고 다니는 구름입니다. 먹구름은 색이 어두컴컴한 이유는 구름이 매우 두껍기 때문입니다. 구름은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는데 물방울이 많아지면 구름이 두꺼워집니다. 구름이 두꺼워지면 태양빛이 구름을 통과하지 못하고 구름의 아래쪽은 어두컴컴하게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