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빼어난안경곰147
빼어난안경곰147
23.09.04

태풍이 어떻게 해서 생기게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유독 여름철이 되면 태풍이 많이 발생하면서 우리나라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는데요. 이런 태풍은 어떻게 해서 생기게 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23.09.05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은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필요합니다. 해양수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그 위로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상승하여 대기 중으로 올라갑니다. 따뜻한 공기가 상승하면서 물방울이 수증기로 변하고, 이 과정에서 열이 방출됩니다. 이는 태풍의 엔진 역할을 하는 열역학적 프로세스입니다상승하는 공기가 대기 중으로 올라가면서 지구의 회전에 의해 회전운동을 시작합니다. 이 회전운동은 코리올리 효과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따뜻하고 습한 공기의 상승과 회전운동으로 인해 태풍 중심에는 저기압이 형성됩니다. 이 저기압은 주변 고기압과의 압력 차이로 인해 바람이 생기고 세차게 불어나기 시작합니다. 태풍은 저기압이 점점 강화되면서 성장하고 발전합니다. 따라서 더 많은 공기와 수증기를 흡입하며, 바람의 세기와 강도가 증가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의 고도각이 높아 많은 에너지를 축적한 적도부근의 바다에서 대류 구름들이 만들어지게 되고 이러한 대류구름들이 모여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열대성 저기압 그 중 강한 것은 태풍이 됩니다.

    수치상로 본다면 세계기상기구는 열대저기압 중에서 중심 부근의 최대풍속이 33m/s 이상인 것을 태풍, 25~32m/s인 것을 강한 열대폭풍, 17~24m/s인 것을 열대폭풍, 그리고 17m/s 미만인 것을 열대저압부로 구분하지만,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최대풍속이 17m/s이상인 열대저기압 모두를 태풍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날씨 변화는 태양으로부터 오는 열에너지가

    주된 원인이다. 지구는 구형으로 되어 있기에 저위도 와 고위도 사이에 열에너지의 불균형이 나타나게 된 다. 태양의 고도각이 높아 많은 에너지를 적도부근에 보내게 되는데 이로 인해 적도 부근의 바다에서는 대 류구름들이 만들어지게 된다. 이러한 대류구름들이 모여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열대저기압)이 발달될 수 있도록 만드는데 이를 우리는 태풍이라 부르는 것 이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보면, 적도 인근 해상의 공기는 고온다습하여 매우 불안정하다. 이에 따라 기압이 주 변보다 약한 곳이 생기게 되는데 이 인근의 공기가 몰 려들어 상승하게되면서 작은 소용돌이를 이루며 전락 운을 만든다. 이럴 경우 때에 따라 비를 뿌리는 스콜 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소용돌이가 북동무역풍 의 영향을 받아 한 곳에 모여 세력을 이루어 커지게되 면서 태풍의 씨앗이 되는 것이다. 태풍의 씨앗이 생성 되면 상승기류로 발생한 전락운이 비를 내리면서 많 은 열을 방출하게 되고 이 열은 다시 상승기류를 강화 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태풍의 씨앗을 중심으로 점차 세력이 강해지면서 태 풍이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은 열대 해상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열대 저기압입니다. 태풍은 해수면 온도가 26.5°C 이상인 열대 해상에서 발생합니다. 태풍은 따뜻한 공기가 상승하면서 응결되는 잠열을 방출하여 강력한 상승기류를 발생시킵니다. 이 상승기류는 주변의 따뜻한 공기를 더 많이 끌어당기고, 결국에는 강력한 열대 저기압으로 발달해 태풍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