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16

지구에 하늘은 낮에 파란하늘이지만 왜..

우리 지구가 포함되어있는 우주공간은 태양이 떠 있지만 어두운 밤처럼 검은색일까요?태양만 밝게 빛나고 주위는 어두운게 이해가 안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22.07.17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대기가 파란색인 이유는 태양으로 부터 오는 가시광선 중 푸른빛을 흡수하지 못하고
    굴절시키거나 반사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주공간에는 이러한 빛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물질 자체가 없기 때문에,
    아무것도 없이 보이는것입니다.
    쉽게말해 그냥 공기의 색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지구에서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는 태양빛이 대기의 공기와 부딧히면서 산란되어 넓게 퍼지고

    거기에 더해 푸른색을 제외한 다른 색 계열의 빛은 대기가 많은 부분 흡수해 버려 상대적으로 태양빛을 반사해서 오는 빛에는 푸른색의 빛 파장이 많아 푸르게 보이는것입니다.

    반면 우주에서는 이런 산란을 일으키는 대기도, 푸른색과 보색관계인 색들을 흡수할 입자들도 부족하여 보이는게 없으니 검게 보이는것이죠.


  • 왜냐하면 빛이 고체를 만나지 않으면, 즉 반사할 물체가 없으면 보이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우주 공간은 빛이 반사될만한 것이 없습니다.

    즉, 아무것도 없는 공간이기 때문에 빛을 반사하지 않고, 우주는 검게 보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