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슬기로운줄나비104
슬기로운줄나비10423.04.21

물과 기름이 섞이지 않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물이라는 물질과 기름이라는 물질이 섞이지 않고 나눠져 있는데

이게 어떻게 가능한건지 원리가 궁금합니다.

구조상 문제인가요? 아니면 다른 성질이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우재 과학전문가입니다.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물은 극성 분자이며 기름은 무극성 분자이기 때문에 서로를 잡아당기는 전기적 힘의 차이가 발생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하여, 극성이 서로 다른 물과 기름은 서로 섞이기보다는 극성 분자인 물은 물끼리, 비극성 분자인 기름은 기름끼리만 섞이게 되는것을 확인 하실수 있습니다.


    질문자님 궁금증 해소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두 물질 간의 분자 구조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좀 더 정확하게는 물은 극성 분자이며 기름은 무극성 분자이기 때문에 같은 성질의 분서끼리 서로를 잡아당기는 전기적 힘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극성이 다른 물과 기름은 서로 섞이기보다는 극성 분자인 물은 물끼리, 비극성 분자인 기름은 기름끼리만 섞이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은 극성 분자이며 수소 결합이 일어나는 반면, 기름은 비극성 분자이며 수소 결합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물과 기름은 서로 상호작용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성질 차이 때문에 물과 기름은 서로 섞이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물과 기름이 서로 섞이지 않는 이유는 용질 간의 상호작용이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물은 극성 분자이며, 분자 안에 산소와 수소 원자들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반면 기름은 비극성 분자이며, 분자 안에는 탄소와 수소 원자들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극성과 비극성의 차이 때문에 물 분자끼리는 서로 인력을 끼치며 붙어들고, 기름 분자끼리도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물과 기름 분자 사이에서는 서로 다른 성질 때문에 인력이 작용하지 않아 섞이지 않게 됩니다.

    또한 물 분자와 기름 분자 사이의 표면장력도 서로 다릅니다. 물 분자는 표면에서 서로 인력을 끼치며 붙어들기 때문에, 표면 위에 물방울이나 물방울이 차 있는 용기에 기름을 부으면 기름이 물방울을 뚫고 들어가지 않고 떠있게 됩니다. 이것이 물과 기름이 섞이지 않는 또 다른 이유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물과 기름이 섞이지 않는 첫번째 이유는 두 분자의 전기적인 특성 차이 때문입니다.


    즉, 물 분자는 극성을 띠고 있어서 극성을 띠는 물 분자들끼리만 서로 섞이려고 하죠.



    아마도 수도에서 떨어지는 물줄기에 정전기로 대전된 물체를 가까이 가져 갔을 때, 물줄기가


    휘어지는 광경을 보신 적이 있을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물 분자가 극성 분자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반면에 기름 분자는 극성을 띠지 않는 무극성 분자입니다.


    그래서 극성을 띠지 않는 기름 분자들끼리만 서로 섞이려고 하죠.



    그리고 두번째 이유가 물보다 기름의 밀도가 더 낮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와 같은 이유로 기름은 물에 녹지 않고 물 위를 떠 다니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물과 기름이 섞이지 않는이유는 분자구조 때문이라고 합니다.

    - 물 : 극성 분자

    - 기름 : 무극성 분자

    보통 극성분자는 극성분자끼리, 무극성 분자는 무극성 분자끼리 연결되려는 성질때문에 물과 기름이 섞이지 않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