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종 입천장과 목 안쪽이 시립니다
몇년전에도 종종 자고 일어나면 목안과 입천장이 시려운 느낌이 들어서 호흡할 때 불편하여 스트레스를 받곤 했었습니다. 그 이후 괜찮아졌다가 최근 또 다시 그럽니다. 보통은 자고 일어났을 때 시린 증상이 있고, 어쩔 땐 일상생활 도중에 그럽니다. 방금은 식사하고 군것질을 하던 중 갑자기 증상이 생겼어요. 입천장은 혀를 갖다댔을 때 차가운 느낌이 있고 목안쪽은 박하사탕을 먹은 것처럼 화한 느낌이 듭니다. 호흡시 가장 많이 시린 부위는 코와 입이 이어지는 부분? 목젖 뒤쪽?이 가장 시려요. 가끔 위염 또는 역류성 식도염이 생겼다 나았다 반복하긴 하는데 관련있을 수 있을까요? 이 증상이 좀 호전되려면 어째야 할지...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시는 증상은 비특이적이기 때문에 특정한 원인이나 질병을 의심하기에 무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있는 만큼 관련하여 정밀 검사를 받고 정확한 상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비인후과 진료를 보시고 필요한 검사 및 결과에 따른 치료를 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정확한 검사를 해봐야 겠지만 편도선염이거나 역류성 식도염으로 나타난 증상으로 보여집니다.
편도선염은
구개편도에 발생하는 염증을 말합니다.
원인
- 가장 흔한 원인균은 B 용혈성 연쇄상구균이며, 이 외에도 포도상구균, 폐렴구균, 헤모필루스 및 다양한 혐기성 균주들도 원인균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다양한 바이러스가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
-보통은 갑작스러운 고열과 오한이 나타납니다. 뒤이어 인후통이 발생하고, 주변 인후 조직의 임파선을 침범하는 인후염이 생길 수 있고, 인두근육에 염증이 생기면 연하곤란 증상이 나타납니다.
치료
-비수술적 치료는 염증을 제거하고 증상 완화를 위한 적절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아세트아미노펜제제나 아스피린 계열의 약물로 충분한 경우가 많습니다.
-수술적 치료는 편도절제술을 시행합니다. 편도절제술은 재발성 편도염에서 가장 흔히 시행되며 이 경우 치료 효과가 좋습니다. 다른 치료법을 충분히 시도했음에도 불규하고 일년에 3~4회 이상 편도염이 재발하는 경우에 편도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특별한 부작용은 없으며 비교적 안전한 수술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편도는 우리 몸의 가장큰 림프절입니다. 외부의 유해세균이 들어오면 방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로 인해 가벼운 감기에도 편도가 자주 붓는 분들이 있습니다.이런 경우 편도절제술을 고려하는것도 한가지 방법입니다.
이외에 보존적치료로는 진통소염제 복용, 찬음식으로 붓기가라앉혀주기 등이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편두통의 전형적인 증상은 전조가 있다는 것입니다. 전조는 두통이 시작되기전 이상한 느낌으로 빛 소리 또는 감각변화 스트레스등이 촉발시켜 두통을 경험하는 사람이 두통이 시작되기 전에 증상을 인지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편두통은 삼차신경통을 유발하기도 하며 단측의 얼굴 눈 볼등의 감각이상과 통증을 경험합니다. 또한 목 근육의 불편감이나 자세에서 오는 근육긴장도 흔히 간과하는 두통의 원인이니 증상이 언제 시작되는지 스스로 점검해보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