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 말고 독감백신도 맞아야 하나요?
코로나19 유행 이후로 사람들이 마스크를 잘 쓰고 위생을 잘 해서 지난 겨울 독감이 유행하지 않았다고 들었습니다.
고령층이 아닌 기저질환 없는 40~50대의 경우에 이번 겨울을 대비해서 코로나19 백신 말고 독감백신을 맞을 필요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질병관리청에서는 코로나19 예방접종과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이 (함께) 진행되는 만큼 안전한 접종을 위해 반드시 연령대별 접종 일정을 꼭 지켜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으로 코로나19와 혼동되는 증상을 줄일 수 있고 인플루엔자로 인한 중증환자도 감소시킬 수 있는 만큼 예방접종을 반드시 실시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과거에는 항체 생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코로나19 예방접종 전후 2주간 다른 예방접종을 피하도록 권고하였으나 그 영향이 미비한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최근 변경된 코로나19 예방접종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코로나19 예방접종시 다른 예방접종과 간격을 두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코로나19와 독감 (인플루엔자) 동시 감염 사례가 보고되기도 하였으며 이 경우 중증으로의 진행 위험성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올해도 예정대로 독감 접종을 받으셔도 되며 코로나 19 예방접종 후 접종당일 몸상태에 특별한 이상이 없다면 독감을 포함한 다른 예방접종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4일 이상 간격을 두시고 맞을 필요가 있습니다.
두 백신 모두 몸살기가 나타날 수 있으니
백신을 맞고서는 무리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1. 예방접종후 깨끗한 마른 수건을 대고 냉찜질을 하는게 좋다
2. 예방접종 후 발열, 두통, 근육통 등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물 많이 먹고 푹 쉬세요.
(접종후 15~30분간 관찰실 대기, 접종 당일 최소 3시간 정도 휴식, 접종 후 3일정도 증상모니터링 필요)
열날때 해열진통제 복용이 도움됩니다.
3. 접종 후에 숨쉬기 곤란하거나, 심하게 어지러운 경우, 입술이나 얼굴이 붓는 경우, 온몸에 두드러가기 나는 경우 응급상황이므로 119 신고하거나 응급실로 최대한 빨리 가세요.
4. 질병관리청에서는 NSAIDs 계열보다는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계열)의 해열진통제를 복용할 것을 권고합니다.
5. 해외에서는 아세트아미노펜 외의 해열진통제도 허가한 상황입니다.
6. 알러지를 대비하여 미리 항히스타민제(콧물, 알러지)약을 복용하는 것은 권장하지않습니다.
7. 백신을 맞기 전 미리 해열제를 복용하는 것도 권장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미리 약을 계속 먹는상황이었다면 유지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확실히 마스크 착용으로 인해 독감의 유행이 많이 줄긴 하였으나 그래도 독감은 시즌이 되면 유행합니다. 전염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독감 백신도 맞는 것이 의학적으로는 바람직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네 바이러스가 다르므로 맞으셔야합니다.
코로나19 접종과 다른 접종과의 간격은 2주이상 띄우는 것이 원칙입니다. 독감접종을 코로나 접종 전후로 2주이상 띄워서 맞으시면 문제가 없습니다. 코로나접종과 독감접종 중 순서는 상관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독감 예방접종은 2주정도 텀을 두시고 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445151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130004
접종 전에 진료시 상담 받으시면 불안한 마음이 가실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나는 국소 이상반응은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ㆍ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별다른 조치 없이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이는 정상적인 면역형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만, 39℃ 이상의 고열, 알레르기 반응(두드러기나 발진, 얼굴이나 손 부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이상반응의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정도라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부작용에 대해 너무 미리 걱정하실필요 없습니다.
백신접종에 따른 이상반응을 최소화하고, 올바른 해열제 복용을 위해 다음과 같이 권고해 드리니, 안전한 접종을 위해 국민과 의료진 여러분의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1. 백신 접종 후 발열, 통증이 있으면 해열진통제를 드시기 바랍니다.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등) 성분의 약제가 다른 해열진통제보다 권장됩니다.
2.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약물을 못 드실 경우 이부프로펜(부루펜 등), 아스피린 등 기타 해열진통제를 드셔도 됩니다.
3. 백신 접종 전 미리 해열진통제를 드시는 것은 권고되지 않습니다.
4. 약을 드셔도 39도 이상 열이 나거나 발열, 두통, 전신통증이 2~3일 이상 지속될 때에는 의사에게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백신+개인위생+사회적 거리두기 해주십시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다른 치료와 병행해야할 때는 2주 정도 간격을 두면 별 다른 이상이 없다는 것이 질병관리청의 가이드라인입니다. 따라서 계획하고 게신 시술이나 수술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보통은 2주정도 간격을 두고 하는 것은 큰 문제가 없습니다.
무엇보다 이러한 치료를 병행하면서 접종을 할때는 반드시 주치의 선생님과 상의 후 접종하시길 바랍니다. 하지만 현재는 백신과 독감을 당일날 다른 팔에 접종하는 것도 상관 없다고 질병관리청에서 발표하였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네네
제 답이 굼긍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이기에 다른 선생님들의 의견도 같이 참고하시고요.
현명한 결정 하사길 기원드립니다.
몸 건강 하시고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영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맞을 수 있다면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백신 접종과 다른 치료를 병행해야하는 상황이라면 2주 정도의 간격은 둘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백신 접종 간격 사이에 2주 정도의 텀을 둔다면 큰 문제는 되지 않습니다.
다만 큰 수술이거나 인체 면역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 등을 복용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이때는 전문가와 상의 후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9월 2일 기준 질병관리청에서 현재 통용되고 있는 모든 백신(생백신, 사백신 포함)과 코로나 백신간의 상호작용은 관찰되지 않아 접종 당일을 제외하면 모두 접종가능하다는 방침을 발표했습니다.
독감은 작년부터 마스크를 잘써서 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 가능하면 코로나와 독감백신은 같이 맞는게 좋습니다.
독감과 코로나는 엄연히 바이러스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 따로 맞아야 합니다. 마스크를 잘 쓰더라도 어르신들의 경우 독감 걸릴 가능성이 높으니 가능하면 접종하는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민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작년부터 마스크를 써서 호흡기계 질환들이 많이 줄은것은 사실입니다. 감기, 비염, 독감 등등... 고위험군이라면 독감 백신을 접종하는 것도 좋습니다. 코로나19 백신도 맞으셔야 하구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항상 예상치 못한 때 백신 맞은 인구가 줄게 되면 갑자기 독감이 유행할 수 있습니다.
가능하면 이번년도 독감 백신 접종도 잘 챙겨주시어 미리 예방하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질문하신 백신과 함께 접종하셔도 무방합니다. 이론상 다른 종류의 백신이기 때문에 동시 접종도 가능합니다.
다만 이상반응 관찰을 위해서 2주정도 텀을 가지시길 권유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독감백신도 접종하시는게 좋을것으로 보입니다.
백신접종과 타백신의 접종은 보통 2주간의 차이를 두는것이 좋습니다.
이번에 독감접종은 코로나접종과 같은날에 해도 된다는 지침이 나왔습니다.
양 팔에다가 접종을 하실수있습니다.
하지만 이경우, 부작용이 생길때 어느백신에 의한 부작용인지 알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개인이 잘 선택하셔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