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남해안돌문어93
남해안돌문어9324.03.07

비행기가 지난간 자리에 하얀 구름이 생기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남해안돌문어93입니다.

한번씩 하늘을 보면 비행기가 지나가고 이후 그자리에 하얀색 구름이 생기던데

이런게 생기는 이유가 뭔가요? 매번 그런건 아닌것 같은데 말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상대적으로 높은 대기의 위치의 온도는 영하에 가깝습니다. 이에 따라 배출된 배기가스가 순간적으로 얼어 육안으로 보이게 되는 것 이죠.


  •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연료를 태우고 나오는 배기가스에는 수증기가 섞여있는데, 이 수증기가 찬공기와 만나면서 액회되고 이것이 구름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지나간 자리에 생기는 하얀 구름은 컨트레일(Contrail)이라고 합니다. 이 현상은 비행기에서 배출된 배기가 높은 대기 상태에서 빙결되어 생기는 것입니다.

    비행기의 엔진은 연료를 태우고 공기를 흡입하여 열에너지를 만들어냅니다. 연소 과정에서 생성된 수증기,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등의 배기가 대기 중으로 배출됩니다. 이 배기가 높은 대기 상태에서 빙결되면서 하얀색 물방울 모양의 구름인 컨트레일이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비행기가 지나가면서 하얀색 비행운이 만들어지면, 주변 대기가 습하다는 것을 알려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컨트레일은 비행기가 생성한다기 보다는 주변 공기 중에 있던 수증기로 만들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에서 연료를 소모하고 난 뒤 배출되는 수증기와 가스들이 공중의 차가운공기와 만나 액화되면서 비행운이 만들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지나간 자리에 생기는 하얀 구름을 구름운이라고 합니다

    비행기의 제트엔진에서 나오는 열기가 일시적으로 찬공기와 만나기 때문에 생깁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에서 비행기가

    지나간 뒤에 나타나는

    하얀색 구름은 비행기 구름 즉

    콘트레일이라 불립니다

    이것은 비행기 엔진에서 나온 배기가스와

    주변 대기 중의 수증기가 만나

    고도 상에서 물방울이나

    얼음결정으로 응결 되면서 형성되는 것입니다

    대기 중의 수증기가 비행기의

    핫 배기가스와 만나면 급격히 냉각되어

    수증기가 포화 상태에 이르고

    이는 물방울이나 얼음결정 형태로 응결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생성된 구름은 기류에 따라

    펼쳐지면서 긴 하얀 줄기를 형성합니다

    또한 주변 대기의 습도와 온도가 콘트레일이

    형성되는데 큰 영향을 미칩니다

    습도가 높고 찬 공기일수록 콘트레일이

    더 잘 형성되고 오래 유지됩니다

    반대로 습도가 낮고 따뜻한 날씨에는

    콘트레일이 형성되지 않거나

    빠르게 사라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콘트레일은 때로는

    기상 변화의 지표로 사용되기도 해서

    대기 중이 습하고 기압이 낮다면

    저기압과 더 큰 기상 변화를

    암시할 수도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 엔진에서 배출되는 물증기와 미립자들이 고온과 저압으로 인해 대기 중에서 응결되어 생성됩니다. 이 콘트레일은 주로 습도가 높은 고도에서 발생하며,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되어 구름 형태로 보이게 됩니다. 때때로 이 구름은 사라지기도 하지만, 일부 경우에는 오랫동안 남아있을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남해안돌문어93님 비행기가 지나간 자리에 하얀 구름이 생기는 이유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비행기의 엔진에서 나오는 배기가스와 만나서 물방울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비행기가 날 때 엔진에서 나오는 배기가스는 매우 높은 온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대기 중의 수증기와 만나면 물방울이 형성되어 하늘에 하얀 구름처럼 보이게 됩니다. 이것은 비행기가 지나간 자리에서만 생기는 것이 아니라 비행기가 날 때마다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보기에는 매번 그런 것처럼 보이지 않는 이유는 날씨 조건에 따라 구름이 보이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비행기가 날 때마다 콘트레일이 생기는 것은 환경오염의 한 형태이기도 하지만 비행기의 안전한 운항을 위해 필요한 것이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운은 비행기가 지나간 자리를 따라 생기는 인공적인 구름을 말해요! 비행운은 총 2가지 이유로 발생하게 되는데요!

    첫 번째 이유, 비행기 엔진의 배기가스!

    ​항공기 엔진의 연료 연소 과정에서 배출되는 뜨거운 배기가스의 수증기가 높은 고도에서 찬 공기와 만나면서 얼어붙어 생성됩니다.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을 때, 작은 물방울이 증발하지 않고 얼 만큼 높은 고도에서 쉽게 나타나는데요! 보통 영하 38℃ 이하의 대기 온도, 8km 이상의 고도, 시속 300km 이상의 비행 시에 발생합니다.

    두 번째 이유, 비행기 날개의 굴곡!

    비행기 날개의 굴곡으로 위아래 공기의 속도가 달라지는데요. 갈라졌던 두 공기가 날개의 끝부분에서 다시 만나면서 부분적으로 기압과 기온이 모두 내려갑니다. 이때, 수증기가 얼어 비행운이 만들어진다고 해요!

    [출처] 국토교통부 - 비행기가 지나갈 때 생기는 하얀 구름! 비행운은 어떻게 생기나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지나간 자리에 생기는 하얀 구름은 비행운이라고 불리며, 엔진 배기가스와 기압 변화로 인해 만들어집니다. 엔진에서 나온 수증기가 높은 고도의 찬 공기와 만나 급격히 냉각되면서 응결되어 얼음 입자를 형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주변의 수증기가 응결되어 구름을 이루게 됩니다.